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딱 잡긴했는데…. 헉! 갑자기 날 어디로 끌고가는 거야?!“난 이상한 알 나라로 간다~. 날 잡고 싶으면 그곳으로 따라와!”이상한 알 나라에는 험프티덤프티와 같은 크고 작은 알이 가득했어. 그 사이를 어찌나 빠르게 뛰어가는지! 저렇게 큰 알이 계속 뛰면 노른자가 출렁거리지 않을까?뭐? 자기는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긍정적인 빨간 머리 앤과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긍정적인 자세는 무엇인가요?“아침은 어떤 아침이든 즐겁죠. 오늘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 생각하고 기대하는 상상의 여지가 충분히 있으니까요.”Q _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돼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전 시냇물이 있었다는 걸 기억해 두고 싶어요. 그런 좋은 기억은 제가 앞으로 살아가는 데 큰 힘이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칸지는 9개월짜리 수컷 새끼였다. 아쉽게도 마타타는 수업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어느 날 연구원들은 수업에 늘 동행했던 칸지가 렉시그램을 이용할 줄 안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타타의 어깨 너머로 언어를 독학했던 것이다. 칸지의 특별한 재능을 알아본 연구진은 본격적으로 칸지를 교육하기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용자가 늘면서 2004년 ‘소리마당’이라는 게시판으로 확대됐다. 바로 다음해에 일어날 일을 예견했던 걸까. 2005년 12월, 소리마당에 연구부정을 고발하는 익명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브릭에선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누구든 글을 쓸 수 있다. 오랜 고민 끝에 내린 결정이다. 1998년부터 일해 온 ... ...
- [지식] 선거 개표의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모두가 반가워하는 날이지요. 물론 성인이라면 선거는 하고 놀아야겠지만요. 이날 오후가 되면 재미있는 드라마는 물론 인기 예능 프로까지 모두 결방하고 개표방송이라는 걸 합니다. 실시간으로 어떤 후보가 얼마만큼 득표를 했는지 알려주고 누가 당선될지 예측도 하지요. 시민들은 이 방송을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개 애벌레들은 피를 나눈 친형제 자매들끼리 다닥다닥 붙어산다. 포식자 새가 날아와 이 중 한 마리를 먹는다. 구역질하며 뱉어낸 뒤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 운이 나쁜 애벌레는 목숨을 잃었지만 대신 여러 동기의 생명을 구했다. 어떤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동기들이 공유할 확률은 50%다.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느껴지는 것 같았다. 이 행성의 진동이. 소금은 고요한 우주를 상상했다. 그 다음날, 그는 수업시간이 끝난 후 평소처럼 말간 얼굴로 표준어 교실을 찾아온 소금에게 서류를 보여주었다. 카두케우스 비행학교 지원안내서였다.그는 어느새 열세 살이 된 소금을 응시했다. 이 아이는 우주인이었다.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아시나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은 도심 속 최대 수족관으로 총 650종 5만 5000마리의 생물이 살고 있어요. 보는 재미가 있고, 다양한 체험이 있 ... 통해 해양 동식물을 쉽게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게다가 아쿠아리스트의 삶도 알게 되어 참 뜻 깊은 날이었습니다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리고 백합에 주목했다. 백합은 꽃잎이 다른 꽃에 비해 크기 때문에 하늘 높이 날고 있는 곤충의 눈에도 쉽게 띄고, 특유의 향기도 널리 퍼뜨린다. 가장 신기한 점은 다 피었을 때의 백합 꽃잎을 모으면, 꽃봉오리였을 때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다. 커다란 꽃잎이 어떻게 작은 꽃봉오리 안에 갇혀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거두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든다. 미래에는 인공지능이 수학을 연구하는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박형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은 “이미 수학의 여러 정리를 컴퓨터가 증명하게 하는 분야가 있다”며, “아직 사람의 손에 의해 증명된 문제를 시켜보는 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