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림자 한가운데에 약 400억km의 크기로 담겨 있었습니다. 블랙홀 그림자 관측에는 한국 연구자 8명도 참여했습니다. 블랙홀의 그림자 영상이 공개되자 전 세계는 흥분의 도가니에 빠졌습니다. 과학계는 이번 관측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블랙홀이라는 ‘극단적 조건’에서도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받았다. 꼬부기 팀은 우승 상금으로 4000달러(약 470만 원)를 받았다. AI 기자 종목에는 한국에서 ‘SIIT_Journalist’ 1개 팀이 단독으로 참가했다. 이 팀은 지난해 제1회 AI 월드컵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 참가였다. SIIT_Journalist 팀은 특정 상황에 적합한 단어와 문장, 기사의 구조 등을 미리 설정해서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러시아 모스크바에 한러 공동설계사무소를 열던 2005년, 협력사인 흐루니체프의 살류트 설계국에서는 나로호(KSLV-I) 1단에 들어갈 부품 설계를 막 ...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 [퍼즐마스터] Mr. 퍼즐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리나라 청소년을 이끌고 세계 퍼즐대회에 참가한 한국의 퍼즐 고수가 있다. 박흥철 한국창의퍼즐협회 사무총장이다. 퍼즐이 수학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준다는 박 사무총장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Q. 퍼즐로 어떻게 사고력 훈련을 할 수 있나요? 사람은 크게 ... ...
- 소행성 충돌로 도시가 불바다? 막아라, 지구방위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6월 30일은 소행성 충돌 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UN이 지정한 ‘소행성의 날’이에요. 실제로도 소행성 충돌을 막는 ‘지구방위대’가 있다는 사실, ...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조성기(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안상현(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센터 선임연구원 ... ...
- [가상충돌 D-6년]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원하는 ‘소행성 움직이기 대회’ 등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김명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 연구원은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우주선을 직접 충돌시키는 것”이라며, “단순할수록 성공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어요. 실제로지난해 NASA는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균열이 생기고 식품의 조직이 파괴된다.냉동공학 전문가인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중소기업솔루션센터 전문연구원은 “보온, 보냉 등의 포장법을 통해 식품의 내외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며 “영하 5도 이하에서 균일하게 냉동하는 기술은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 ...
-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일어날까? 2. 수많은 인류를 살린 투구게의 푸른 피 3. 전 세계 개구리를 멸종시키는 한국개구리 4. 족발에서 종종 보이는 무지개빛의 정체는 5. 총알이 날아올 때 물속으로 들어가면 정말 안전할까 6. 방탄헬멧은 왜 ‘소총탄’에 뚫릴까 7. 치킨 먹을 때 비닐 장갑 껴도 기름 묻는 이유는? 8.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만의 미디어텍, 중국 화웨이의 반도체 관련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이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은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지능형 반도체 개발을 국가 신규 사업으로 선정해 정부 차원에서 관련 연구와 산업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BBP) 등 주로 프탈레이트 계열 물질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지정한 유해물질로 등록돼 있다. 특히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2B등급 발암물질로도 지정했다. 유 책임연구원은 “PVC를 소각할 때에도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