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주위험감시센터’ “소행성이 10LD*보다 가까이 오면 빨간불이 떠요.”5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만난 김명진 연구원이 말했어요. 화면에는 지구와 지구 근처 소행성의 실시간 위치가 나타나 있었죠. 이들 소행성이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의 10배 보다 가까워지면 ... ...
- 괭이갈매기 알 1600개 훔쳐간 도둑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건 발생, 사건 발생! 전 대원은 난도로 출동 바람’ 괭이갈매기 경찰대에 사건이 접수됐어요. 충청남도 태안 난도에서 수많은 괭이갈매기 부부의 알 ... 수사과), 이장호 연구관(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환경연구과), 홍상희 책임연구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해성분석센터 ...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와 같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알 1600개를 국립공원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세 곳에 연구목적으로 기증했답니다. 괭이갈매기는 원래 새우나 멸치 등 단백질 위주의 먹이를 먹어요.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새우깡이 이들에게 좋은 영양분이 될 리가 없지요. 갈매기는 ...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로켓 등을 만들어볼 수 있답니다. “자, 지금부터 각자 큐즐로 작품을 만들어 보세요!” 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이효성 대리님은 우선 기자단 친구들이 큐즐의 규칙을 익힐 시간을 주셨어요. 친구들은 쌓여있는 큐즐 조각 주변으로 흩어져 각자 도안을 보면서 큐즐을 조립해 보기도 하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입학해 윤 교수의 지도로 올해 2월 석·박사통합과정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으로 채용됐다. 윤 교수는 “얼굴에서는 홍채를 이용한 생체인증 기술이 발달했는데, 미세혈관에 의한 피부 변화로 심박수를 알 수도 있다”며 “얼굴의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향후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참고자료 세르게이 노린, 쑹쯔샤 ‘Breaking the degeneracybarrier for coloring graphs with no Kt minor’, 영문 위키백과 ‘하트비거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루에 9~10시간 실험하고, 주말에는 2주에 한 번씩 로스앤젤레스에 놀러 가거나 한국에서 온 친구들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요세미티국립공원 등으로 당일치기 여행을 갔다. 연구 결과도 내고 좋은 추억도 쌓을 수 있었던 행복한 여름방학이었다.또 3학년 여름방학에는 3주 동안 1학년 학생들이 듣는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제공하고 있지만, 사실 나는 이 중에서 제대로 해본 게 없다. 긴 여름 방학에는 보통 한국으로 들어와 과외를 했다. 임페리얼칼리지의 비싼 학비와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우리나라는 영국 대학 입시 준비 학원이 많지 않아 나와 같은 영국 유학생들에 대한 수요가 많은 편이다. 이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은 맞았다. 과학자들은 사실상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만들어 지구에서 5500만 광년(빛의 속도로 5500만 년 이동해야 닿을 수 있는 거리) 떨어 ...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아니 앞으로의 10년 동안 한국 과학계도 이런 대우를 받았으면 좋겠다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국내 빙하코어 연구를 처음 시작할 당시의 이야기부터 꺼냈다.EPICA가 마무리되던, 그리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 소속된 극지연구센터에서 독립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는 극지연구소로 승격했던 2004년, 빙하코어 시추 연구도 국내에서 처음 시작됐다. 당시 북극다산과학기지와 남극세종기지를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