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전문가에게만 미뤄선 안 돼 이쯤 되면 시청자 여러분 중에는 ‘수학적 오류가 그렇게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법정에서 수학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예요. 우리가 살펴본 사건들이 보여주는 건 수학이 법정에서 ... ...
[한페이지 뉴스]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YES”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제올라이트보다 5배가량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연구 중”이라며 “흡수력이
큰
재료를 찾고 장치를 휴대할 수 있게 구현하면 사막 등 물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16/j.joule.2020.09.008김소연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687t에서 889t으로 29.3% 증가했다. 플라스틱류는 734t에서 848t으로 15.6% 늘었다. 이중 더
큰
문제는 플라스틱 쓰레기다. 플라스틱류 폐기물은 종이류보다 양은 적지만 더 결정적인 환경오염 원인으로 지목된다. 종이는 땅속에 묻은 뒤 2~5달 지나면 대부분 분해되는 반면, 플라스틱은 잘 썩지 않아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시스템을 갖고 있어서 획일화되지 않은 다양한 유전자 가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었다.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두 사람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적용할 가이드 RNA를 여러 형태로 변형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향상 가능성도 처음으로 보여줬다. 유전자가위로 인간 배아를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구매해주셨다. 초등학생 때부터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 쭉 과학동아를 보다보니 내 방
큰
책장 한 칸이 과학동아와 수학동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과학동아에서 소개하는 과학 캠프도 종종 찾아갔다. 캠프를 진행하는 선생님들과 나의 꿈과 과학을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정말 즐거웠다. 캠프에서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화성을 가자는 얘기도 있었다.그들을 설득하다 지친 NASA의 대기물리학자 도널드 헌텐은
큰
목소리로 “젠장! 탐사선이 명왕성에 도착할 때쯤 나는 세상에 없을 겁니다. 그래도 이건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 맞습니다. 과학이 중요해요. 그러니 그냥 합시다”라고 소리치기도 했다.마침내 2001년이 ... ...
[이달의 과학사] ‘ 빛 공해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답니다.빛 공해는 과학자들에게도 문제를 일으켰어요. 특히나 천문학자들에게는
큰
골칫거리였어요. 빛이 대기 중의 입자들에 의해 산란하며 밤하늘이 밝아져 어두운 별들이 보이지 않게 된 것이죠.빛 공해를 막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벌였어요. 예를 들어, 1988년에는 어두운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_최나윤(서울 세화여중 1학년)“제게 데이터 요리의 세계를 알려준 수학동아에게
큰
감사를 드립니다!”_정세연(부산 신곡초 6학년)9월 23일 수학동아와 사이람이 주최한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에 참여한 친구들이 행사가 끝나고 남긴 후기예요. 대체 어떤 강연이었기에 이런 찬사를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해가 있으면 어떤 분야에서든 일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코딩을 꼭 배워야 하는 거라면 이왕이면 실용성이 있고 재밌으면 좋겠죠? 코딩으로 과학 실험과 게임 개발을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부품들의 각도를 0.0001~0.001도 정도 미미하게 틀어놓지만, 이런 미세한 차이도 촬영에는
큰
영향을 준다. 탑재체가 바라보는 각도가 0.1도 틀어지면 지상 기준으로 30~70km 옆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탑재체가 제대로 된 방향을 보고 있는지 목표 궤도 진입 후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오차를 측정해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