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송도의 공부벌레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플라보노이드(베르베린, 바이칼린, 위고닌, 에모딘 등)가 ‘Smad6’과 ‘Smad7’의 발현을
조절
하는 데 관여하는지 연구 중이다.암 정복해 어머니 암 치료하겠다_김영채캐나다 맥길대 3학년, 생화학 전공원래 김영채 씨의 꿈은 국제변호사였다. 그런데 고등학교 때 어머니가 암에 걸리면서 생각이 ... ...
전자기기 열 잡는 소방수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이 간격과 이 때 방출하는 열량이 자동으로 계산된다. 김 교수는 “핀 두께나 간격을
조절
할 때 열발산량이 얼마나 변할지 예측해 설계와 분석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5분의 1 이하로 줄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2002년 채널 폭이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인 ‘마이크로채널 히트싱크’를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돛을 활짝 폈을 때나 일어납니다. 훌륭한 스키퍼라면 돛을 50~70% 정도만 펴 좌우 요동을
조절
할 수 있어요.”길모어 스키퍼는 “지금 탄 배가 그만큼 기울 일은 없다”면서도 “태풍이 부는 날은 위험하기 때문에 바다에 나가는 사람이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런 날 항해하는 일이 가장 재미있다”고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분비를 억제한다. 근육신경 말단에서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아세틸콜린 분비량이
조절
되지 않으면 신경계에 혼란이 생기고 결국 머릿니는 근육이 마비돼 죽는다.그러나 이런 화학 살충제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살충제를 많이 사용하면 사람에게도 비슷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미국과 ... ...
전자의 '이상행동'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고집적 고효율의 차세대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원자가 가진 전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다면 ‘꿈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도 만들 수 있다. ‘파동-입자 이중성’의 새로운 발견KAIST 양자전도이론연구실은 1nm~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분의 1m)의 미시세계에서 전자들 사이의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마우스의 수정란(受精卵) 핵 속에 래트의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구조유전자와 그
조절
유전자를 주입하여 염색체에 조합해 넣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연산처리 속도가 매초 10억 회 이상의 과학 기술 계산 전용의 컴퓨터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독자적으로 실행 가능한 연산기를 여러 개 사용하여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두근거리고 숨을 헐떡이는 현상은 뇌가 내보내는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자신의 의지로
조절
할 수 없다. 운동경기를 보면서 손에 땀을 쥐는 이유도 땀샘 분비 기능이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정신을 갉아먹는 환각과 불면증영화 초반, 촌라싯이 정체불명의 귀신을 목격한다고 말하자 누나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한다. 차 앞에 달린 레이더가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해 충돌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
한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를 번갈아 밟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와이퍼 없어도 깨끗한 유리창이탈리아의 피오라반티 오토모바일은 와이퍼 없이도 빗물과 먼지를 없앨 수 있는 자동차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몸이다. 건강한 몸을 유지하려면 몸 속의 생체시계를 따라야 한다. 이 생체시계가 식욕을
조절
하는 그렐린과 렙틴의 균형을 맞춰주기 때문이다. 굶거나 과도한 운동으로 체중을 감량하면 생체시계가 깨져서 몸의 균형이 무너저버릴지도 모른다. 어찌 보면 배고플 때 먹고 졸릴 때 자는 것이 가장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능세포가 자율적으로 인접 조직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해 부리의 모양을 만든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찰스 다윈은 1859년 출판한 ‘종의 기원’에서 품종에 따라 형태가 다양한 비둘기 부리를 조사한 뒤 “이런 변화는 아주 이른 시기부터 확연히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