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스스로 교정한다는 뜻이다.맥길대 언어치료학과 셰리 바움 학장은 “발성기관의 위치를
조절
해 발음을 교정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확한 발음으로 말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그러나 바이러스의 자기 복제기능은 없애고 유전자 전달만 할 수 있도록 바이러스를
조절
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이 인공바이러스다.자기조립으로 초분자를 만든 뒤 DNA나 RNA 같은 유전 물질을 넣어 세포 내에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 이 단장은 “인공바이러스는 실제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분화해 뇌 신경세포를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어떤 단백질이 관여하는지, 특정 단백질을
조절
하면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지를 밝히려는 것. 그는 또 “줄기세포 분화에 어떤 단백질이 관여하는지 알아내면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기초연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구 주위를 34바퀴나 돌면서 천천히 국제우주정거장과 속도와 방향이 비슷해지게
조절
했어.4월 10일 오후 8시에는 자동 도킹 구역에 진입했어. 그리고 9시 30분쯤부터 소유스 우주선은 국제우주정거장과 거의 같은 속도와 방향으로 날면서 가까이 다가가기 시작했어. 본격적으로 도킹이 시작된 거야. ... ...
피부로 산소 감지하는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호르몬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은 거예요.아하~, 결국 피부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조절
한다는 게 증명된 거군요. 마지막으로 하실 말씀은 더 없나요?그 동안 운동선수들은 몸 속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적혈구를 추가로 넣는 등의 방법을 썼다고 해요. 하지만 이번 연구를 잘 활용하면 적혈구 수를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완전한 직립을 하면 네다리로 이동할 때보다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훨씬 정교한
조절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두 발로 걷거나 달리려면 발을 내딛고 구르는 타이밍이 완벽하게 맞아야 한다. 즉 리듬감이 있어야 한다. 미슨 교수는 “완전한 직립보행을 할 수 없는 침팬지는 음악에 맞춰 몸을 흔들지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되는 전자석(➏)을 붙여 놓고, 전기의 흐름을
조절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결과 전기만
조절
하면 자석끼리 밀고 당기는 힘이 생기면서 열차가 앞으로 나갈 수 있게 됐다. 이 때의 순간적인 힘은 몇 초 만에 시속 193㎞를 낼 수 있을 정도라 거의 90。나 되는 경사도 거뜬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 ...
정서 보듬는 음악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음악은 짧은 시간에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에 효과적이다.음악으로 내 기분
조절
한다한 가지 노래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효과를 내지는 않는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특정 노래가 특정 감정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있다. 노래는 자율신경계를 자극하기 때문에 맥박수와 호흡수를 변화시킨다.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10~50nm이므로 이렇게 만들어진 구조는 바로 나노구조물이 된다. 블록의 구조나 크기를
조절
하면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초산으로 만든 나노 거푸집 연구단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구조를 보이는 여러 블록공중합체를 만들었다. 연구단 실험실은 여러 팀으로 나뉘어 있는데 그 중 한 ... ...
백마 만드는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변하는 걸까.스웨덴 웁살라대 라이프 앤더슨 교수팀은 ‘그레이’라는 유전자의
조절
부위에 DNA조각이 끼어 들어가 이런 돌연변이가 나왔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지네틱스’ 7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앤더슨 교수는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털 색깔을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