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생물학 공방’을 묶은 이 책은 ‘본격 과학 학술 만화’다. 작가는 심해 생태계의 존재와 박쥐의 초음파, 세균 감염의 위험성 등 다양한 생물학 지식들이 밝혀지기까지의 방대한 과학사를 그렸다.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게 작가 본인이 주제를 정하고 방대한 책과 논문을 탐독해 얻은 결과라는 점이다.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년까지 부득이하게 8TeV로 실험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존재를 밝혀낸LHC는 2013년부터 설비 개선에 돌입해 지난 해 6월 13TeV의 높은 에너지로 재가동을 시작했다. 물리학자들은 더 높은 에너지로 가동되는 LHC에서 암흑물질이 생성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만약 ...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이 학설로 설명하기 어려워요. 빙판에는 원래 물이 있다?!얼음 표면에 물 층이 항상 존재한다는 학설도 나왔어요. 얼음은 물 분자 중 수소원자가 다른 물 분자의 산소 원자와 서로 결합된 상태예요. 그런데 얼음의 표면에서 바로 공기와 맞닿는 분자들은 일부만 주변과 결합하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접근할 때에는 서바이벌 건을 쏘고 소리를 질러 겁을 준다. 그러면 곰들은 사람이 위험한 존재라고 느끼고 나무 위로 도망간다.우리가 방사를 위해 자연적응훈련장에 접근하였을 때 곰들은 우리를 피해 나무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았다. 훈련이 잘 되어 있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이런 훈련 때문인지 ... ...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대부분 고체, 액체, 기체 상태 중 하나로 존재해요. 또한 물질은 한 가지 상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상태로 변할 수 있는데, 이를 ‘물질의 상태 변화’라고 하지요.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는 부피도 함께 변해요.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의 결합 상태가 변하기 때문이에요. 기체일 ...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나타나는 날이면 외출을 삼가거나 무기를 들고 밖으로 나가는 등 오로라를 두려운 존재로 여겼답니다.우리나라 사람들도 마찬가지였어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있던 삼국시대와 그 뒤에 이어진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도 오로라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어요. 그 기록의 수는 모두 244개로, ...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잡아당겨 이 지역의 해수면이 상승해요. 같은 원리로 화성과 포보스 사이에도 조석력이 존재한답니다.연구팀은 조석력이 포보스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했어요. 그 결과, 포보스에 가해지는 조석력의 크기가 큰 곳에 줄무늬가 생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또한 조석력의 ... ...
- 빛으로 꿈꾸다! All Light! All Right!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표면을 기어가는 것보다 빨리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지은 이름이란다. 웜홀은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수학적인 이론이라고 해. 웜홀이 실제로 있다면 순간이동이나 시간여행이 가능할 수도 있겠지?반짝반짝 빛으로 놀자!웜홀을 빠져나와 도착한 ‘빛 놀이터’에는 재미있게 빛을 즐기는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중의 중성미자가 물분자에 충돌했을 때 생기는 아주 약한 빛을 포착해 중성미자의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지요. 또 맥도널드 교수는 중성미자가 지구로 오면서 종류가 바뀐다는 사실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답니다.노벨 화학상 스스로 고치는 DNA!올해 노벨 화학상은 유전물질(DNA)의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존재를 증명하는 소중한 지표예요. 학명이 없는 생물은 우리들의 주변에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거나 같아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원 교수는 “지구상에 있는 생물은 대략 1000만~3000만 종 정도로 추정되지만 현재 학명을 갖고 있는 생물은 약 200만 종에 불과하다”며, “이름이 없는 80%의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