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런 과정이 쌓여 가망 없어 보이는 실험도 결국 성공하게 됐다.아인슈타인은 물질의 존재에 따른 시공간의 주름을 예측했다. 때로 이 주름은 기이한 현상도 상상하게 했다. 시공간을 접고 그 사이에 다리를 놓으면, 막대한 공간 차이를 순식간에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우주의 주름에서는 공간도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입자물리학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인 중력과 전자기력, 약한 핵력, 강한 핵력이 우주초기에 통합돼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표준모형’이라는 이름으로 중력을 뺀 나머지 세 힘을 통합적으로 기술하는 데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인간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든 사람이 그러는 건 아니다. 개인차가 존재한다. 일례로 불확실성을 잘 견디지 못하는 사람이나 위험에 민감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낯선 사람들을 잘 믿지 못한다(J Pers SocPsychol. 2014 Oct;107(4):719-35.).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낯선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다른 행동들을 보고 추정해야 해 연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편도체도 모르는 공포가 존재우어바흐-위데병(Urbach-Wiethe disease)은 인간의 편도체 기능을 밝히는 데 많은 역할을 했다. 우어바흐-위데병은 혈관 내 칼슘이 증가해 피부가 굳는 병으로, 질환자 중 50~75%는 편도체까지 굳어 그 기능을 잃고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시도한 곳이 피지컬 리뷰 레터스의 전신이자 자매지인 ‘피지컬 리뷰’다. 다행히 피지컬 리뷰에서 논문게재를 거부당해 중력파는 ‘죽다 살아났다’. 조세프 웨버는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견했다. 웨버의 계산대로라면 우리은하는 중력파 방출로 엄청난 에너지를 잃어 아예 존재할 수 없었다. 더구나 웨버가 만든 상온 바 검출기는 여러 중력파 신호를 검출하기에 민감도가 충분치 않았고(10-16), 공명 주파수가 제한돼 있었다(1661Hz). 사람들은 점차 1969년의 결과를 믿지 않게 됐다. 오직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뇌 영역에 존재하며, 인간이 웃기 훨씬 전부터 유희와 웃음의 원형이 다른 동물들에도 존재했다”고 밝혔다.영국 포츠머스대 마리나 다빌라로스 교수팀은 2009년 웃음의 진화 계통도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 침팬지, 고릴라, 보노보 22마리와 3명의 인간 아기를 간질였을 때 나오는 발성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라이고’를 이용해 중력파가 지나가면서 만드는 공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그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분석한 결과, 블랙홀 두 개가 하나의 무거운 블랙홀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방출된 중력파라고 밝혔습니다. 중력파 검출은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는 동시에 빅뱅 직후 초기 ...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한 단어에 힘을 주며 중력파 검출을 선언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소식을 생중계했고, 전세계 언론은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천문학자인 퍼시벌 로웰은 르베리에의 방법을 본 따 “해왕성 너머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1906년 이 미지의 아홉 번째 행성에 ‘행성 X’라는 이름도 붙였다. 자신의 이름을 딴 로웰천문대에서 행성 X가 있을 만한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방대한 기록을 남기고 1916년 사망한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