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증거인"(으)로 총 2,0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토콘드리아, 진핵세포 진화 마지막 단계서 생겼다2016.03.06
-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진핵세포의 모식도로 꾸며졌다. 연두색 세포벽으로 둘러싸인 세포 안쪽에 하늘색 원 부분이 핵이다. 오른쪽 아래 똑 떼어낸 부분은 표지논문의 주인공인 ‘미토콘드리아’다. 세포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데서 일명 ‘세포 속 공장’이라고도 ... ...
- 태평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된장잠자리의 비행2016.03.03
- 그렉 라슬리 생태사진작가 제공 장마가 끝난 뒤 흔히 볼 수 있는 ‘된장잠자리(학명 Pantala flavescens)’가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를 여행하는 곤충의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제시카 웨어 미국 럿거스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세계 곳곳에 서식하는 된장잠자리의 유전자에서 공통적인 유전 ... ...
- ‘마션’에 나온 화산 지역이 여기인가…2016.03.03
- 화성의 지형 지도. - 위키미디어 제공 화성의 타르시스 지역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 지역으로, 많은 양의 화산암이 이곳에 매장돼 있다. 지표면의 용암은 최소 30억 년까지 활발한 화산 활동을 벌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최근 프랑스 연구진이 타르시스 지역이 형성되기 이전의 초기 화 ... ...
- 지구의 109배 태양 vs. 3분의 1 수성, 천체 크기는 왜 다를까2016.03.02
- 태양계는 가장 큰 태양부터 다양한 크기의 크고작은 행성으로 구성돼 있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우주 공간에는 다양한 크기의 천체가 존재한다. 태양계만 해도 지구 지름 109배에 이르는 태양이 있는가 하면, 지구 지름 3분의 1이 조금 넘는 수성, 지름 30m 남짓한 소행성도 있다. 최근 미국 ... ...
- 日서도 지카바이러스 감염자 발생동아일보 l2016.02.26
- [동아일보] 브라질 다녀온 10대男 확진 일본에서도 지난해 이후 처음으로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나왔다. 가나가와(神奈川) 현 가와사키(川崎) 시 거주 10대 남성이 가족과 함께 9∼20일 브라질 관광을 다녀온 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25일 확인됐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 ... ...
- ‘응팔-꽃청춘’이 떠난 나미비아는? “대륙이동설 증거가 있는 곳”2016.02.25
- tvn 꽃보다 청춘 제공 인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주인공들이 합류한 ‘꽃보다 청춘’ 아프리카편이 첫 방송부터 시청률 약 12%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에 ‘꽃청춘’들이 찾아간 곳은 이름도 생소한 ‘나미비아’다. 광활한 아프리카 대륙의 남서부에 위치한 나미비아는 국토 ... ...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 언제부터 이뤄졌나2016.02.18
-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 위키미디어 제공 7000년 전 사라진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오랫동안 공존하면서 면역 등 유전적으 ... ...
- 슈퍼지구 대기 성분 최초로 직접 스캔2016.02.17
- 슈퍼지구인 외계 행성 ‘게자리 55 e’(오른쪽)와 중심별(왼쪽). - 유럽우주국(ESA) 제공 슈퍼지구는 질량이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는 작은 외계행성이다. 현재까지 우리은하에서 발견된 외계행성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 줄 슈퍼지구의 대기 성분에 관한 첫 관측 ... ...
- [중력파에서 감자까지]중력파 발견 기념, 주말은 SF 영화로동아사이언스 l2016.02.13
- 2016년 2월 11일은 역사적인 날로 기록이 될 거다.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101년 전에 예측했던 ‘중력파’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날이기 때문이다. 대체 중력파가 뭐길래 이리도 난리들이냐, 라고 하면 어디서부터 설명해야 할지 막막해 진다. ● 노벨 물리학상이 상품으로 걸 ...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2016.02.12
-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중력파를 일컫는 말이다. ‘발견만 하면 노벨상’이라는 호들갑도 들린다. 사실 중력파는 상대성이론이 가장 최근에 틔운 새싹이다. 지난 100년 동안 상대성이론이 해왔던 것처럼 앞으로 100년의 우주 연구를 책임질 큰 기둥이기도 하다. 2014년 3월 세계 언론은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