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일관된 색채를 유지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디지털
카메라
로 입력한 화면을 모니터에 띄우고 다시 이것을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색채의 편차를 완전히 해결한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베지비전은 과일이나 채소를 계산대에 놓으면 미리 설치된
카메라
가 색깔과 모양을 보고 종류를 판단하고, 무게를 재서 가격을 결정해주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과일과 채소에다 일일이 바코드를 붙일 필요가 없다. 손님이 물건값을 계산하면 매출과 재고상황은 인터넷을 통해 ... ...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흔히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비디오 CD도 재생할 수 있다. 또 얼마전 연예인 몰래
카메라
로 화제가 됐던 동영상 압축포맷인 mpg파일이나 앞서 이야기한 MP3 파일까지도 재생할 수 있다. 심지어 리얼플레이어 파일인 ra나 rm파일도 감상할 수 있다.지원하는 기능 역시 막강하다. 재생 탐색 기능은 ... ...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디지털
카메라
와 라디오 수신기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카메라
로 찍은 영상을 전기 신호로 전환한 뒤 값비싼 케이블이나 위성 대신 라디오파를 이용해 신호를 전송한 것이다.그러나 ‘잡음’이 문제다. 라디오를 청취할 때 잡음이 들리는 것과 같이 데이터가 다른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대웅전이 있는 지점의 오른쪽이었다.촬영지점을 확정한 당므 사진의 시야와 동일하게
카메라
를 고정시키고 사라진 탑의 위치를 찾은 결과 도면상에서 20번 탑 좌측 언덕이었다. 이제 이 지점에 직접 올라가 탑자리의 흔적을 찾았다. 그곳은 커다란 바위로 이루어진 암반이었는데 소나무 잎이 두껍게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천문관측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또한 눈으로 보이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
를 사용해 어둠 속에 숨겨진 별을 탐색했다.이러한 노력의 첫번째 결실은 1980년대 중반 지구에서 57광년 떨어진 4등급 별 ‘베타픽토리스’ 주위를 돌고 있는 먼지구름층을 발견한 것이다. 별 주위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보자. 화가와 모델 사이에는 격자무늬가 그어진 투명한 창이 있고 화가의 눈 밑에는
카메라
의 파인더와 같은 조그만 구멍이 뚫린 기구가 놓여 있다. 화가는 한 눈을 감고 이 기구의 조그만 구멍을 통해 격자무늬의 창 너머에 있는 모델을 책상 위에 펼쳐놓은 모눈종이에 옮겨 그린다.화가는 그림이 다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자연스럽게 등장한 것이 네트워크 보안 문제다. 어느 건물에 들어갈 때 수위나 감시
카메라
가 있듯이 이젠 컴퓨터에도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일이 필요해졌다. 이것이 네트워크 보안의 기본이 되는 방화벽(firewall)이다. 더 나아가 요즘에는 이용자들이 무슨 일을 하며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때문에 국내에서는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본 샤프사에서는 MO 디스크를 디지털
카메라
의 저장 매체로 사용했는데, 이를 이용하면 디스크 한 장에 수천장의 사진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손바닥 위의 도서관현재 광디스크를 그 용량이 수 GB대로 영화 한편을 충분히 담을 수 있지만, 다시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실용위성 개발에도 참여한다. 오는 2003년에 발사예정인 아리랑 2호에 들어갈 고해상도
카메라
시스템을 독자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항공우주연구소로부터 위탁받았다. 이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캘리포니아대학 내에 있는 제트추진연구소에 상당한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것을 보는 듯하다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