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태양시 모드로 움직여야만 그림자의 모습이 원형에 가깝게 찍힌다.다중노출이 가능한
카메라
에 초점거리4백-6백mm렌즈,ISO400컬러필름을 넣고 3회 촬영하면 그림자의 윤곽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오퍼레이터가 이것을 구동프로그램에 준다. 그러면 망원경은 자동으로 위치를 찾아가 CCD
카메라
로 관측한다. 관측자는 CCD가 보내온 자료를 분석해서 연구를 하면 된다. 그러니 연구원들은 거의 ‘별 볼 일이 없는’ 것이다. 아이피스에 눈을 대고 별을 찾는 전통적인 천문학자의 모습은 간데 없고, ... ...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방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오디오로 만들어줄 장비가 있어야 한다. 개인이라면 가정용 캠코더나 컴퓨터용
카메라
와 마이크만으로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 캠코더나 비디오 등을 연결할 경우 캡쳐 보드라는 것이 있어야 한다. 보통 텔레비전 수신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생방송으로 동영상 화면을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기록한다. ALVINN은 이 두가지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사람이 타지 않았을 때
카메라
를 통해 들어오는 도로의 영상을 보며 적절하게 핸들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이 도로에서는 30도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려야 한다’는 학습이 이뤄지는 것이다. 내브랩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추적·감시용으로 만들어진 GEODSS로 불리는 구경 1m(F/2) 반사망원경이 빛에 민감한 CCD
카메라
와 함께 사용된다. 필름사용에 비해 1/3 넓이밖에 찍을 수 없지만, 아주 짧은 노출시간에도 18-20등급의 별까지 찍히기 때문에 맑은 날 밤이면 10시간 동안 전하늘의 60% 이상을 조사할 수 있다.이런 망원경들을 ... ...
의료용 방사선 영상 계측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신경을 쓴다는 말이다.동위원소를 스파이로 파견또한 조 교수팀이 매달리고 있는 감마선
카메라
는 인체에서 나오는 감마선의 궤도를 계산해서 영상으로 만들어낸다. 세포가 내는 방사선으로 인체 내부의 3차원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방사성 동위원소가 결합된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실제 눈으로 보면 실망스러울 만큼 작고 어둡게 보일 것이다. 인간의 눈은 애초부터
카메라
의 필름처럼 빛을 모아둘 수 없기 때문에 거대 망원경으로 보아도 사진처럼 볼 수는 없다.그러나 작고 흐릿한 은하의 빛이 수천만년 동안 우주를 가로질러 날아와 지금 당신의 망막에서 사라진다는 것을 ... ...
눈물 젖은 꿈 우주에 띄운 '우리별' 주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팀이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유사장을 포함한 ‘위성꿈나무’였다. 유사장은 위성의 눈인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일을 맡았다.보람은 있어서 92년과 93년에 우리별 1, 2호가 모두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그 누구는 다른 나라 기술이라고 쉽게 말했지만 개의치 않았다. 99년에 우리별 3호가 발사되자 사람들의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겨울 밤하늘이 지고 난 북반구의 봄 밤하늘은 습도를 머금은 대기와 때맞춰 불어온 황사로 황량하기만 하다.그러나 이즈음 남반구의 밤하늘은 오리온과 시 ... 장관을 펼쳐 보이기 시작한다.그러나 서서히 동이 트며 별들이 사라지고 아쉬움 속에
카메라
와 망원경을 닫고 잠자리에 들었다 ... ...
축구 오프사이드는 심판 보기 나름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등을 판정한다. 그런데 연구팀이 월드컵과 유럽 프로축구리그 2백여 경기를 이동
카메라
와 비디오 판독기로 조사한 결과, 선심은 일반적으로 최종 수비선수보다 골라인에 1m 정도 더 가까이 서있었다. 게다가 선심은 공격수를 더 주의깊게 보는 경향이 있다.이런 상황에서 (그림)의 왼쪽과 같이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