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즈상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던 비운의 수학자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는 미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뒤 오희 교수를 지도했다.한편 러시아 출신 필즈상 수상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인 레프 콘체비치는 러시아 최고의 한국어 권위자다. 막심 콘체비치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한글이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붙어 있는데, 우리가 속한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3만 300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가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각 계수나 차수 등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변경된 방정식에 대응되는 곡면도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트 모양을 가진 3차원 도형의 방정식은 $(x²+\frac{9}{4}y²+z²-1)³-x²z³-\frac{9}{80}y²z³$=0인데, 이 방정식을 $(x²+\frac{9}{4}y²+z²-1)³-x²z³-\frac{9}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슈타인은 1912년 8월 모교인 스위스연방 공대의 교수로 취임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먼저 자리를 잡고 있던 그로스만과 함 께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드는 공동작업을 시작합니다. 그로스만에게서 고등수학 지식을 얻은 아인슈타인은 이론 완성에 한 걸음 다가서는데, 대학 때 그로스만이 꼼 꼼히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그의 업적을 기려 시모어 벤저 석좌교수직을 만들었다. 앞서 말한 앤더슨 교수가 현재 그 자리에 앉아 있다.벤저에겐 특이한 버릇이 하나 있었다. 그는 무엇에 대해 완전한 지식을 얻으려면 그것을 먹어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벤저의 실험실에 그의 이름을 딴 식당이 있었는데, 식탁에는 암소의 젖통,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인슈타인(Einstein)은 1933년 히틀러가 지배하는 독일을 떠나 미국 프린스턴대에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양자역학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은 이곳에서 다시 공격의 포문을 연다. 1935년 포돌스키(Podolsky), 로젠(Rosen)과 함께 ‘물리적 실재에 대한 양자역학적 설명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모여 있었다. 당시 펠릭스 클라인은 개회사를 통해, 수학의 발전을 위해 수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구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모임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이것이 계기가 돼 1897년스위스 취리히에서 제1회 세계수학자대회가 개최됐다.한편, 오늘날의 올림픽은 기원전 8세기부터 5세기까지 ... ...
- [과학뉴스] 태양보다 1300배 큰 불타는 눈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쌍둥이별의 이름은 HR5171A예요.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남쪽 하늘에 떠 있는 켄타우로스자리에 있는 별이지요. 지구로부터 약 1만 20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답니다.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 별은 크기가 거대한 만큼 밝게 빛나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볼 수 있어요. 태양보다 100만 배나 더 밝게 빛나거든요 ... ...
- Intro 세계수학자대회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학술대회로, 최근 4년간 일어났던 중요한 수학적 업적들을 소개하고 각종 상을 시상하는 자리다. 기초과학분야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회로, 다양한 수학 분야에 관한 토론과 강연이 열리는 수학자들의 축제이기도 하다. 이렇게 뜻깊은 대회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만큼 제대로 알고 ... ...
- 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맡고 있다. 이번 대중강연은 그의 삶과 수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귀한 자리다. 쌍둥이 소수 추측의 실마리를 찾은 이탕 장도 특별 강연을 연다.이밖에도 2010년 필즈상 수상자인 세드릭 빌라니 교수가 진행하는 수학 영화 상영회도 볼거리다. 이 상영회에서는 세계적인 수학자와 함께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