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게 생기면 끝나고 조교에게 물어보거나 따로 공부를 한다. 하지만 외국 학생들은 그
자리
에서 바로 손을 든다.“수업시간에 그렇게 질문하면 보통 ‘나댄다’고 고깝게 보잖아요. 그렇지 않나요?”“천만에요. 다들 아는 내용인데 질문해서 흐름을 끊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이건 다들 몰라서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유리 식물’이다. 진짜 식물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치훌리의 유리 식물은 원래부터 그
자리
에 있었던 듯 어색함이 없다. 어떤 게 유리일까? 특유의 아름다운 색채로 밋밋했던 정원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다. 작가 인터뷰유리에 생기를 불어 넣다유리 공예가 데일 치훌리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교육용 재료나 장난감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처럼
자리
매김하고 있다. 종이 한 장으로 입체 조형물을 만들어 내는 신비한 기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 기대해 보자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서로의 지식을 나누고 소통하면서 스스로 축제의 장을 만들었다”며, “시상을 하는
자리
역시 단순히 상만 주는 시상식에서 벗어나 서로 경험을 공유하고, 축하하는 축제 형식으로 기획했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술 받은 18명 중 13명에서 이식받은 세포가 정상적으로
자리
를 잡았으며, 10명은 시력이 약간 좋아지기도 했다.연구진의 최종 목표는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아니라 광수용체를 이식해 환자들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광수용체는 망막색소상피세포보다 배양하기가 더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발언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달라이 라마는 환생이라는 방식을 이용해 대대로
자리
를 계승합니다. 달라이 라마가 죽으면 유언에 따라 환생자를 찾은 뒤 그 사람을 차기 달라이 라마로 추대하지요. 달라이 라마의 이번 발언에는 정치적인 목적이 있지만, 여기서는 ‘환생’ 자체에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디자이너들이 직접 연구하고 있죠.”복제할 수 없는 QR코드가 숨겨져 있다그러고 보니 각
자리
에는 직접 그린 것으로 보이는 스케치들이 붙어 있었다. 뛰어난 솜씨였다. 하지만 여기서 어떻게 보안기술을 개발한다는 걸까. 살짝 의아해 하는 기자의 표정을 읽었는지, 오창진 디자인연구센터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이디어를 접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헬이 실험할 수 있도록 독일 괴팅엔에
자리
를 마련해줬다.1999년, 마침내 헬은 최초로 아베 한계를 극복한 형광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한다. 그 후 분해능은 15nm에 이르게 된다. 헬은 이 현미경을 유도방출감쇄(STED) 현미경이라고 불렀다.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맥도날드에 모여 작별 파티를 열었다. 발사 때부터 탐사선을 지켜봐온 로버트 파커도 이
자리
에 함께 했다. ISEE-3호는 다시 지구의 반대편으로 태양을 크게 돌아 17년 뒤 지구에 돌아온다. 이 탐사선은 17년 뒤에도 파커와 만날 수 있을까? 파커의 대답은 “아니오”였다. 파커는 올해 81살이다. 위성이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6600만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해양파충류 역시 지구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면서 자신들의
자리
를 포유류에게 넘겨줬다. 그래도 세계 곳곳에는 아직도 다양한 파충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포유류가 적응하지 못하는 극한 환경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이들이 햇볕을 받으며 일광욕을 즐기는 모습을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