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접으면 화면도 반으로 줄어 든다. 접은 만큼 두께는 늘어나지만 휴대성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 제조자들이 앞 다퉈 ‘폴더블폰’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폴더블폰은 기술적인 난관이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디스플레이다. 화면을 접어도 모든 기능을 그대로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강력 추천한다. 마라톤 왕초보인 기자도 해냈다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종합해보면, 결국 중요한 것은 원유가격 상승 그 자체가 아니라, 유가 변동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07년이나 혹은 2017년처럼 중국 등 주요 산업국가의 원유 수요 증가로 유가가 상승하는 경우라면 한국 경제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 1990년처럼 전쟁이나 혹은 혁명 같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여름철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빙 간 상호작용은 해빙이 소멸하면서 점차 약해질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북극 온난화가 중위도 기후에 영향아직까지 지구시스템 모형을 이용해 기후 피드백 효과를 연구하는 분야는 걸음마 단계입니다. 특히 오랜 기간에 걸쳐 개발된 기후모델과 달리 지구시스템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시각 습득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모두 그 기술의 개발 자체만 놓고
볼
때 꽤 오래됐다. 그 기술이 더 발전하고 다른 분야의 기술과 융합해 현대 사회와 문화가 형성된다. 사물인터넷(IoT)은 TV 리모컨과 인터넷 기술을 합쳐 스마 트기기에 이식한 것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이라는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우리는 계절과 날씨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모습의 구름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눈이나 위성으로 관측하는 것만으로는 구름의 입체적인 모습을 정확히 알기 어렵죠.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의 마르쿠스 그로스 교수 연구진은 구름을 3차원으로 그리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진은 2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다친 부위를 고쳐서 뼈를 맞추는 거지. 그럼 뼈만으로도 나의 원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거야. 참고래는 지금 건조 중!6시간에 걸쳐 세상 밖으로 나온 골격은 아직 흙과 살 조직이 남아 있는 상태예요. 연구원들은 뼈를 깨끗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솔로 흙을 일일이 다 닦아내었지요. 이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어요. 그래야 종자에서 싹이 나는 것을 막아 종자를 영구 보존할 수 있거든요.”시드
볼
트 안에는 수만 점의 종자들이 도서관처럼 정리되어 있었어요. 앞으로 수백만 점의 종자가 더 보관될 예정이지요. 이경수 친구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종자를 보존한다는 사실이 신기했다”며 소감을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논문이 발표된 뒤 채킨은 M사로부터 56kg에 달하는 초코
볼
을 한 아름 선물 받았다고 하네요. 같은 통에 초콜릿을 꽉꽉 채워 많이 먹으려다 놀라운 발견까지 하다니, ‘덕업일치(좋아하는 것을 일로 삼다)’란 이런 건가 봅니다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센서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디지털 신호로 바꿔 촬영한 사진을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반도체다. 김용석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미지 센서가 클수록 빛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지만, 스마트폰은 센서 크기에 제약이 있어 DSLR 카메라를 넘어설 수는 없다”며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