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사바나의 파수꾼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해주거든요. 기린은 키가 크고 시력이 좋아 4~7km나 떨어진 먼 거리의 포식자까지 알아
볼
수 있어요. 그래서 기린이 달리기 시작하면 주변에 있는 초식동물도 앞뒤 가리지 않고 도망가지요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바람이 확산제, 소화액이 억제제 역할을 하면서 점 또는 띠무늬 자국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튜링 모형을 산불에 적용해 불이 어디로 번질지 예측해 산불을 진화할 수 있지요. 질병 전파를 막는 법1986년 머레이 교수는 여우 광견병이 영국에서 퍼져나가는 현상을 튜링 모형을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논문이 발표된 뒤 채킨은 M사로부터 56kg에 달하는 초코
볼
을 한 아름 선물 받았다고 하네요. 같은 통에 초콜릿을 꽉꽉 채워 많이 먹으려다 놀라운 발견까지 하다니, ‘덕업일치(좋아하는 것을 일로 삼다)’란 이런 건가 봅니다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접으면 화면도 반으로 줄어 든다. 접은 만큼 두께는 늘어나지만 휴대성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 제조자들이 앞 다퉈 ‘폴더블폰’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폴더블폰은 기술적인 난관이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디스플레이다. 화면을 접어도 모든 기능을 그대로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강력 추천한다. 마라톤 왕초보인 기자도 해냈다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종합해보면, 결국 중요한 것은 원유가격 상승 그 자체가 아니라, 유가 변동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07년이나 혹은 2017년처럼 중국 등 주요 산업국가의 원유 수요 증가로 유가가 상승하는 경우라면 한국 경제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 1990년처럼 전쟁이나 혹은 혁명 같은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앞으로 20년 뒤에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이용한 내연기관 자동차를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연료전지 핵심은 촉매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차 양쪽을 모두 연구하고 있는 유 교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자동차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여럿 남아 있다”고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시각 습득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모두 그 기술의 개발 자체만 놓고
볼
때 꽤 오래됐다. 그 기술이 더 발전하고 다른 분야의 기술과 융합해 현대 사회와 문화가 형성된다. 사물인터넷(IoT)은 TV 리모컨과 인터넷 기술을 합쳐 스마 트기기에 이식한 것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이라는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가 갇힐 미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미로를 만들었습니다. 이 패턴은 스페인의 알람브라 궁전을 비롯해 중세 건축물에서
볼
수 있습니다. 내년 아벨상 시상식에서 방문객들은 이 미로 속에 흩어져 있는 단서를 찾아 퍼즐도 풀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벨상위원회의 의장직을 맡고 있는 문테코스 교수는 “아벨상은 수학자의 공로를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00년 이후에 나온 것을 보면 20세기 기초과학에 투자한 결실이 21세기에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정부의 기초연구 지원이 본격화된 만큼 기초 연구가 제대로 이뤄진 건 30년도 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노벨 과학상 수상이 수십 년 전 연구 업적에 대한 공로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