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불순물이 적고 순도가 높은 결정을 만들 수 있거든요. 하지만 꼭 과학자만 결정을 만들어볼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알파걸의 화학 실험실 시리즈 중 ‘크리스탈 보석 만들기’, ‘크리스탈 태양 수정 만들기’, ‘크리스탈 야광 반지 만들기’ 실험 키트로 과학자처럼 결정을 만들어 보세요.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수리부엉이는 내가 지킨다!“어릴 적부터 이곳은 동네 친구들보다 새를 더 자주 볼 수 있는 곳이었어요. 식사를 하다가 창문 너머로 시선을 돌리면 옹달샘에서 목을 축이는 새와 눈이 마주쳐요. 제가 새 연구자가 된 것도 다 이런 자연환경 덕분이죠.”‘꾸룩새’는 소쩍새와 수리부엉이 같은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신비를 풀고 싶다”고 말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인 장이권 교수는 “시드볼트와 같은 국가중요시설이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자연을 충분히 탐사할 수 있어 정말 좋았다”며, “캠프에 참가한 부모와 어린이들이 생명 보존의 가치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식을 배우는 계기가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때는 거미들이 가만히 있었지만, 정전기를 가하자 거미들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어. 이를 통해 연구진은 거미가 하늘을 나는 데 정전기를 사용할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단다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공간 바로 옆을 뛰어다니는 아르마딜로 가족을 만난 것이다. 야행성이어서 낮에는 절대 볼 수 없다던데 우리 때문에 땅굴 속까지 시끄러웠던 것일까? 아침에 이를 닦다 현생종 중 가장 큰 설치류인 카피바라가 눈 앞을 뛰어가는 광경을 본 것도 즐거운 기억이다.사실, 포유류 동물들과의 만남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비춘 다음 다른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몸 밖으로 나온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몸속을 볼 수 있어요. 빛은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전반사를 이용해 구불구불한 몸속 장기에도 빛을 비출 수 있는 것이랍니다 ... ...
- 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4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영국 지브롤터 공항스페인 남쪽, 영국령에 속하는 지브롤터에는 독특한 공항을 볼 수 있어요. 활주로와 도로가 ‘+’ 모양으로 서로 가로지르고 있거든요. 평소에는 차들이 도로를 쌩쌩 달려요. 그러다 비행기가 이착륙을 할 때면, 멈춰선 채로 비행기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답니다. 마치 철도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해왕성에는 다이아몬드 비가 내린다?!지구 밖 태양계 행성에서도 다이아몬드를 찾아볼 수 있어요. 바로 천왕성과 해왕성이지요. 오래 전부터 과학자들은 두 행성 내부의 엄청난 열과 압력으로 탄소가 다이아몬드로 변한 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지요.201 ... ...
- [가상인터뷰] 공룡, 사실 혀를 날름거리지 못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도마뱀처럼 길고 잘 발달한 모습으로 오랫동안 상상해 왔단다.그동안 공룡의 혀를 직접 볼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해. 혀는 부드러운 조직이기 때문에 빨리 썩어. 공룡의 화석을 발견하더라도 혀를 발견할 수 없지. 그래서 이번 연구팀도 혀 대신 설골을 이용해 연구할 수밖에 없었어. 설골은 턱과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날벌레가 많은 계절에 화분을 밖에 데리고 나가면 식충식물이 벌레를 잡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Q식충식물을 키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식충식물을 위해 일부러 많은 벌레를 잡아줄 필요는 없어요. 특히 몇몇 종류의 식물은 벌레의 움직임을 느껴서 소화액을 분비하기 때문에 죽은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