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타인
남성
남자
남방
남녘
남방셔츠
d라이브러리
"
남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어요. 그런데 좀 우수하다는 사람이면 모두가 외국으로 가버린단 말예요. 여기에
남
아서 무엇인가를 이룩해야 그게 밑거름이 돼서 다름 사람이 계속 뒤를 이을텐데 말입니다. 그러다보니 물리학과나 화학과같은 곳에서는 서울대 대학원출신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에요. 그리고 외국에 가서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루려던 노력의 흔적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이조시대의 의학서중에도 그다지 뚜렷하게
남
아있지 않다. 그 까닭은 한국 사상은 고대로부터 한국의 특산물인 인삼과 녹용을 가장 좋은 강장제로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의약사상과 불로불사보다 현세와 미래의 평안을 희구하는 유교나 ... ...
여학생으로 보다 적합한 선택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소홀히하던 분야를 골고루 택하고 있는 것이다. 기계·건축분야도 그런 의미에서
남
성의 아성이라는 장벽이 무너질 것이다. 앞으로 하이테크화되면 될수록 힘들고 여성이 못하던 것이 점점 없어지면서 여성의 진출도 늘어갈 것이다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임금격차, 인격적차별대우 등으로 응어리진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두주먹을 뿔끈쥐고
남
들이 알아주는 유명대학은 아닐지라도 아픈 경험을 많이한 '장이'들이 공부를 하고싶고 해야한다는 일념으로 모여들어 이루어진 배움터이기에 더욱 열심히 해야된다고 다짐하며 공부하고 있읍니다" 용접학과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같은 분야가 미생물학과 생명공학의 연구 분야들인데, 실제 생활에서 많은 업적을
남
기고 있지만 이러한 것들의 많은 부분이 실제로는 적용이 힘들거나 가능성만을 제시하는 부분도 있다. 또 모든 과학자가 꿈꾸는 노벨상의 대부분도 현재로서는 미생물학자나 생명공학자들이 받고 있는 실정이다.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 광주(廣州), 장춘(長春)에 각각 인공위성추적관측소를 설치하여 중공것은 물론,
남
의 나라의 것들도 관측 감시하고 있다. 위성발사능력에 세계가 주목 세계의 열강이 중공의 인공위성 발사능력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이유는 곧 그것을 우주공간에 운반하는 수단인 로킷의 능력때문인 것이다.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명을 제외한 5쌍동이가 예정보다 아주빠르게 제왕절개수술로 태어났다. 다섯쌍동이는
남
아 2명 여아 3명으로 체중은 0.77kg에서 1.65kg였다. ■ 인공심장 이식수술 시도부천에 있는 세종병원은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송아지에 인공심장이식수술을 시도했다. 10월26일 6차로 시도된 ... ...
랭 루이 파스퇴르대와 프랑스대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장마리 랭은 1939년 프랑스 알사스지방의 로젱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트라스부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70년부터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루이 파스퇴르대학에서 교 ... 프랑스대학의 교수직도 겸임하고 있다. 부인 실비는 스트라스부르대학의 수학교수로 있고 슬하에 2
남
을 두었다 ... ...
첨단제품에 눈부셔 그나마 쫓아갈수 있으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느낌을 한번 더 받게 되었다.첨단 기술 개발이 지속되지 않는 한 살아
남
기 힘들다는 말은
남
의 이야기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해 주었다.좀 더 배워야 하고 좀 더 알아야 세계 선진국들을 그나마 쫓아 갈수 있지 않을까 하며 10월중에 있을 한국전자전을 기대하면서 발길을 돌렸다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드는군요.박-"말은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의식이 아직도 뿌리깊게
남
아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교수는 어느 정도 평준화의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 사실 입니다. 학생들은 그 반대 방향이라 하겠는데, 아마 학력고사 때문이겠지요. 후년부터는 학력고사의 실시여부가 대학의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