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약물치료"(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2016.04.17
- 청색광을 이용한 세포내 물질수송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무선조종자동차(RC카)를 조종하듯 빛을 이용해 세포 내 소기관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허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세포내 물질 ... ...
- 안면마비 예방, 웃음이 보약동아일보 l2016.04.12
- ■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윤강준 원장 증상 지속 땐 미세혈관감압술 추천 안면마비는 한방에서는 구안와사, 벨마비라고 불린다. 보통은 면역력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와 다르게 뇌신경의 문제로 인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 뇌신경은 1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 ...
- 생존률 36.8%, 유방암 전이 일으키는 범인 찾았다2016.04.11
- 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전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한영훈 한국원자력의학원 책임연구원 팀은 세포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miRNA) 중 하나인 ‘miR-5003-3p’가 암을 전이시키는 새로운 기전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암 치료가 어려운 것은 암세포가 다른 ... ...
- “정신건강 전문가, 10만 명당 9명 꼴”2016.04.10
-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전 세계를 의미하는 지구본과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 가지로 이뤄진 뇌 형상이 담겼다. 대뇌를 나타낸 지구본 위에는 꽃이 핀 넝쿨식물이 전 세계를 하나로 이어주듯 얽혀 있다. 인류의 정신건강을 위해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 ...
- ‘황금(黃芩)’의 약리 효능 과학적 규명2016.04.09
- 황금 꽃(왼쪽)과 약재로 쓰이는 말린 황금 뿌리(오른쪽)의 모습. - 존인너스센터 제공 국제 공동연구진이 한약재로도 쓰이는 식물 ‘황금(黃芩)’의 약리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캐시 마르틴 영국 존인너스센터 교수팀은 중국과학원과 공동으로 황금이 뿌리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플라본 ...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2016.04.05
- 지승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왼쪽)과 김기범 서울대 교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 같은 유효 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리닝’ 기술을 한 단계 진일보 시키는데 성공했다. 생명과학분야 연구는 물론 신약개발 효율성 증대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승 ... ...
- [꿀잠 잡시다!]온몸 근육 흐물흐물해지는 느낌으로 긴장 풀어라 外동아일보 l2016.04.04
- [동아일보] 불면증 부르는 스트레스 대형 제약사에 다니는 이모 씨(42)의 하루는 매일 전쟁 같았다. 얼마 전 팀장으로 승진해 큰 프로젝트를 맡게 된 데다 부하 직원 한 명이 회사를 떠나면서 업무량이 늘었다. 성격 급한 상사는 이 씨를 자주 다그쳤다. “이 팀장, 아직도 안 됐어? 시간 많아요?” ... ...
- [글로벌 마켓 뷰]실리콘밸리는 헬스케어-테크기업 융합중동아일보 l2016.03.31
- [동아일보]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올해 연두교서에서 암 정복을 위한 ‘문샷(Moonshot)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해 우주 개척의 기념비적 사건을 만들었듯이, 암을 완전히 정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발표한 것이다. 지난해 뇌암으로 장남을 잃은 조 바이든 부통령이 이 프 ... ...
- 암 혈관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 개발2016.03.30
- 김인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왼쪽)과 변영로 서울대 교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혈관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타깃으로 하는 항암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김인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테라그노시스연 ... ...
- ‘알파닥’이 의사를 대신?... “우리 아이 의대 보내? 말어?”2016.03.26
- 1800년경, 미국인 10명 중 8명은 농사를 짓고 살았습니다(한국 자료는 찾을 수 없었지만, 아마 더 높았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100년 후, 1900년경에는 절반으로 줄어서 10명 중 단 4명만이 농업에 종사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100년이 지난 지금, 미국 내 영농인은 전 인구의 1.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미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