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껍고 갈라진 손발톱 무좀‥‘굴욕이야’
2016.07.19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여름이면 더욱 심해지는 말못하는 고통.. ‘무좀’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무좀은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을 줍니다. 간질간질 고통이 오지만 아무데서나 벅벅 긁을 수도 없고.. 발을 내놓을 수 없어 더운 여름에 반드시 양말을 신어야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 팀은 미세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전기적으로 조절해 입자들이 떼를 지어 이동하거나(c) 촘촘하게 모이고(d), 사슬 모양(b)을 이루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 네이처 머티리얼스 제공 약물의 부작용은 인체에 투 ... ...
DNA만 알고 RNA는 모른다면, 아니 아니 아니되오~
2016.06.19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유전체 사이의 RNA(리보핵산)를 나타낸 상징적인 그림으로 장식됐다. 곳곳에 RNA가 어디로 향할지를 나타내는 이정표가 눈에 띈다. RNA는 핵산의 일종으로 DNA에 새겨진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 때 직접 작용하는 고분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국내 연구진이 살아 있는 동물의 뇌 속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치료까지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성기 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장(사진)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팀은 유연하고 투명한 플라스틱을 이용한 ‘두개골 윈도’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의학계는 살아있는 동 ... ...
늙으면 약해진다더니, 면역력으로 노화 정도 알 수 있네
2016.06.02
Pixabay 제공 팽팽하던 피부가 주름지는 것 외에도 노화의 증거는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외부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면역력이 줄어드는 현상도 대표적인 노화의 증거다. 제니 지앙 미국 텍사스대 교수팀은 우리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의 능력을 토대로 노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 ...
질병 연구 핵심기법 ‘인공 세포막’ 설계방법 찾았다
2016.05.30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인공 세포막의 제작 과정. 단일층-이중층이 끊김없이 연결된 세포막을 그대로 모사했다(E). - 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체외 세포막’을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 약물 시험, 질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어 생명과학 ... ...
혐오의 시대, 정신장애인의 인권은 어디에..
2016.05.28
강자의 위치에 있지만 ‘장애인’이라는 약자이기도 합니다. 아마도 적절한 정신
약물치료
를 받으면 그의 편집증은 상당히 호전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사건의 원인이 조사되고 적합한 처벌이 있어야 하겠지만,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또 다른 편견이 만연되는 것을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흥미로운 사실은 발생초기에 손상이 일어났음에도 비정상적인 행동은 청소년기가 되어서야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 패트리시오 오도넬, 화이자 신경과학 정신 및 행동 장애 분과장 지난주 강남역 부근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은 우리나라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다시 한 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어떤 물질이 독이 되느냐 약이 되느냐는 용량의 문제’라는 유명한 약리학의 명제가 있다. 독 가운데 가장 강력한 독이라는 보툴리움톡신(botulial neurotoxin)도 예외는 아니다. 보툴리움톡신은 1kg당 3나노그램꼴의 용량(몸무게 50kg인 경우 150나노그램)으로도 복용한 사람의 절반이 죽는다고 한다. 즉 ... ...
악성 뇌종양, 약물에 내성 생기는 원리 밝혀
2016.05.11
환자 대체 치료용 3차원 체외 뇌종양(뇌암) 모델의 모식도. - KAIST 제공 뇌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김필남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3차원 체외 종양 모델을 제작하고 악성 뇌종양의 약물 저항성(내성) 발생 원리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