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빈 부분을 통해 돌아다니는 것이다. 그래서 자연 상태의 물질은 모두 도체이거나 부도체,
둘
중의 하나다. 그런데 부도체라도 다른 비어 있는 밴드가 가까이 있으면 도체 같이 행동할 수 있다. 이것을 반도체라고 한다. 이 반도체라는 개념과 불순물을 다루는 기술이 결합하자마자 1947년 트랜지스터가 ... ...
[우먼 동아일보] 허니버터칩~ 먹어보자!
동아일보
l
2015.01.30
효과라느니 하며 허니버터칩에 부정적인 멘트를 날리거나 애써 무관심하던 이들도 하나
둘
씩 허니버터칩의 맛을 궁금해하고 있으니 말이다. 제과 업계는 이런 대박 상품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유사한 제품을 내놓고 있다. 농심에서는 허니머스터드 수미칩을, 오리온에서는 스윙칩 치즈맛을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형국이다. 결국 데이브는 로봇수리점을 정리하고 시골 과수원으로 떠난다. 헬렌과
둘
이 남은 필은 같이 쇼핑도 하고 낚시도 하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헬렌이 ‘남자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반려자’라고 느낀다. 헬렌이 데이브를 잊었다고 생각하던 어느 날 귀가한 필은 격렬하게 울고 ... ...
혼자보다
둘
이 할 때 더 좋은 건? 금연과 다이어트
2015.01.25
iStockphoto 제공 금연과 다이어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배우자나 연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부부를 포함한 커플 3722쌍을 대상으로 금연과 운동 등을 함께 진행하면 성공률이 어떻게 달라지를 알아봤다. 금연의 경우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상보성이라 불렀다. 하이젠베르크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이 상보적이라고 주장했다.
둘
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를 ‘불확정성원리’라고 불렀다. 물리학자들은 본능적으로 모든 것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싶어 한다. 측정할 수 없는 것은 아예 과학이 아니라고 할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이 녀석들이 몸 안에서 어떤 일을 벌이고 있는가가 하나
둘
밝혀지면서 생각 이상으로 골치 아픈 존재임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최근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처럼 우군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생로병사에서 본격적으로 노(老)의 단계에 들어간 필자로서는 게놈 속에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가 무어냐고 물으면 필자도 할 말이 없다. 코펜하겐 해석의 두 번째 문제는 우주를
둘
로 나눈다는 거다. 하지만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경계는 대체 어디라는 말인가? 거시세계의 모든 물질은 미시세계의 원자로 되어 있지 않은가? 좋다. 원자 하나는 미시계다. 인간은 분명 거시계다. 당신이 두 ... ...
내 이름은 ‘봉우리’, 내 임무는 센서~
2015.01.08
감지하는 부분(도메인)과 형광 빛을 발하는 도메인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 단백질 센서는
둘
중 빛을 발하는 도메인을 변형시켜 만들었지만 봉우리 센서는 전압을 감지하는 도메인에 돌연변이를 준 것이다. 신경세포에서 봉우리의 성능을 직접 측정한 결과 8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만에 ... ...
[광화문에서/김상연]아인슈타인의 실수
동아일보
l
2015.01.06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상대성이론은 두 개가 있다. 특수와 일반 상대성이론이다.
둘
다 아인슈타인이 발표했다. 특수가 10년 먼저, 그러니까 1905년 발표했다. 특수상대성이론은 물체가 빛처럼 빨리 움직일 때 거리가 길어지고,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것처럼 보인다는 내용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은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하는 것일까? 전자가 정말로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나나? 그렇다면 하나의 전자가
둘
로 쪼개졌다가 다시 하나가 되는 것인가? 이런 어려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앞으로 하나씩 짚어보겠다. 일단 여기서는 전자가 확률의 파동이라는 것이 원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만 이야기하자. 이 모든 것은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