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당연히 처음에는 아무도 안 믿었는데, 하루 종일 몸을 흐느적거리며 주장하니 하나
둘
씩 믿게 됐다. ‘진실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믿는’ 그 친구는 지금 꽤 유명한 화가가 돼 있다. 창의성 높은 학생이 규칙에서 쉽게 벗어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프란세스카 지노 ... ...
신생아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세포를 무찔러 우리 몸을 지킨다. 하지만 면역세포가 이
둘
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활동하면 몸속 기관이 망가져 류머티스 관절염, 췌장염 등 자가면역질환이 생긴다. 이 때문에 우리 몸에는 자가면역반응을 억제하고 면역이 잘 유지되도록 돕는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방법이다. 연구팀은 단백질이 든 물방울과 산성 용액이 든 물방울을 빠르게 충돌시켜
둘
이 합쳐진 융합 물방울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산성 용액을 만난 단백질에서는 말려있던 구조가 펼쳐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반응이 일어나는 도중 융합 물방울을 뜨겁게 달군 모세관으로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없었다. ● ‘벌집 거울’로 가장 많은 빛을 모은다! E-ELT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은
둘
다 가시광선을 보는 ‘광학망원경’이다. 그런데 굴절망원경은 사용하는 렌즈가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크기를 계속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렌즈가 너무 커지면, 빛의 초점이 퍼지는 현상 때문에 상이 ... ...
한국 아동 ‘공부 스트레스’ 세계 최고
동아일보
l
2015.03.12
같은 지표를 적용해보니,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학업스트레스 지수는 50.5%였다. 이는
둘
중 한 명은 학업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얘기로, 유니세프 조사 대상 29개국의 평균인 33.3%보다 17.2%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다. 학업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낮은 네덜란드는 우리나라의 3분의 1인 16.8%에 불과했다.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 결과 이 모양 이 꼴이 됐다는 것. 두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부정했지만
둘
사이의 간통은 기정사실화됐다. 충격으로 입원까지 한 사사이 박사는 자신을 향한 부당한 비난을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결국 자살을 선택했다. 오늘날의 시각으로도 뻔뻔스럽다고 할 정도로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셀(Cell) 제공 실험 결과 원숭이들의 선택은 34.7%가 협력이었다.
둘
다 협력을 선택한 경우는 17.1%였다. 특히 상대방이 이전 게임에서 배신을 한 경우 협력을 선택하는 경향은 26%로 크게 낮아진 반면 서로 협력을 선택한 경우 62.1%가 다시 협력을 선택했다. 원숭이들의 뇌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있어 역시 전문 코디네이터의 섬세한 손길이 필요하다. 박태환과 쑨양(사진 왼쪽)은
둘
도 없는 라이벌이자 친구였다. 두 친구는 사이좋게 도핑테스트에 걸렸는데, 그 결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 동아일보 제공 ● 박태환 몰랐어도 책임 피하긴 어려워 이처럼 반도핑 기술이 점점 더 교묘해지고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그렇다면 돌리 파튼과 복제양 돌리, 이
둘
은 무슨 관계일까요? 돌리를 복제할 때 썼던 체세포는 ‘가슴’ 부위의 젖샘세포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기 바랍니다. 감이 오시나요? 그렇습니다. 돌리 파튼은 뛰어난 뮤지션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 ...
개와 늑대의 계산 대결, 그 승자는?
수학동아
l
2015.02.25
식입니다. 이렇게 여러 번 치즈를 넣은 뒤 한 통에만 치즈 하나를 더 넣었습니다. 그리고
둘
중 어느 통에 치즈가 더 많이 들었는지 알아맞히게 했습니다. 답을 맞히면 통 속에 있는 치즈를 먹을 수 있도록 확실한 보상도 해 줬습니다. 그 결과 개보다 늑대가 더 잘 맞혔습니다. 늑대는 치즈 대신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