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잉크와, 이 잉크를 사용해 인공조직을 찍어낼 3D프린터를 직접 만들었어요. 이 3D프린터는 형태를 잡아 주는 재료와 인공조직 재료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모양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답니다. 또한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해 조직의 모양을 정교한 그래픽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지요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감마선 폭발이 어떤 환경에서 일어나는지 알려준다. 이를 통해 폭발체가 속한 은하의 형태와 온도, 밀도, 색깔, 금속함량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세 가지 신호를 종합하면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빛을 내는 사건, 감마선 폭발에 대해 알 수 있다. 그런데 감마선 폭발은 그 자체로도 천문학계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시작했습니다. 오우택 서울대 약대 교수는 “통각의 말초신경과 가려움 말초신경이 형태는 유사하지만 세포막의 구성성분이 다르다”며 “통각이 약하다고 해서 가려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가려움을 느끼는 회로가 따로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키득키득~ ‘간지럼’두 종류의 간지럼 중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먼저 1차원을 생각해 봅시다. 1차원에서는 축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구는 길이가 2인 막대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수직선 위에 길이가 같은 막대를 가장 많이 채우는 방법이 되지요. 하나의 빈틈도 없이 막대를 가득 채울 수 있기 때문에 밀도는 1입니다. 대부분 파랑색 선과 빨간색 선 사이의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4개(양말 한 짝 당 12개)를 만들었다. 마치 목걸이에 달린 펜던트처럼 순환계 중간엔 튜브형태로 만든 미생물연료전지를 달았다. 각 미생물연료전지를 양말의 종아리 부분 뼈대에 두른 뒤, 전지에 연결된 고무 튜브들을 발바닥 밑으로 둘렀다. 각 튜브는 양말 밑바닥에 있는 오줌 주머니를 통과하게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 개 정도로, 1만8000개인 에볼라보다 짧다. 염기서열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같이 형태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NS1, NS2A 같이 기능을 하는 단백질로 크게 나뉜다. 기능성 단백질은 숙주 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고 다시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지름은 40~6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CNU세일-1을 보고도 한참 찾았다). CNU세일-1은 가로세로 각각 10cm에 높이는 약 30cm인 큐브샛 형태를 하고 있다. 무게는 4kg. 돛의 면적은 가정용 돗자리 두 개를 펼친 것과 비슷한 4m2로 작지 않지만, 발사 전이라 큐브샛 안에 고이 접혀 보이지 않았다.추가 연료 없이 우주쓰레기 막는 ‘항력 돛’“심우주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계는 있어서 완전하게 시력을 회복하지는 못했어요. 그래도 실명환자들이 사물의 형태와 색,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커요. 이제 과학자들은 시각의 어떤 부분이 선천적인지, 또 어떤 부분이 경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답니다. 혀로도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를 위해 연구팀은 얇고 넓은 막에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을 붙인 ‘우주 돛단배’ 형태의 우주선, ‘나노크래프트’를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5분의 1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형태로 급격히 발전한 반면, 쓰기 기술은 합성할 수 있는 염기쌍 수가 여전히 1차 함수 형태로만 늘고 있다.문제는 정확성이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현재 화학적 합성으로는 염기 100개 마다 1개 꼴로 오류가 발생한다”며 “수백 개 이상의 염기로 원하는 유전자를 한번에 합성하는 건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