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머리뼈를 옆에서 보면 남성의 이마는 약간 비스듬하지만, 여성의 이마는 거의 일자 형태에 가깝다. 이런 사실을 배운 뒤 필자는 한동안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마만 쳐다보고 있곤 했다. 최근에는 머리뼈의 여러 특징들에 점수를 매겨 머리뼈가 남성(혹은 여성)일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을 자주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흥주 DGIST 기초과정부 교수는 “복소수 없이도 파동을 표현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형태가 될 것”이라며 “복소수는 위치와 방향을 한 번에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도구”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다른 분야에서도 방향성과 크기를 가진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복소평면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막장에 다이너마이트를 넣을 구멍을 뚫는다”고 말했다.보령해저터널은 크게 두 가지 형태의 폭약을 이용해 땅을 뚫고 들어간다. 점보 드릴로 뚫은 막장 중앙 부분은 다이너마이트로, 무너질 위험이 있는 터널의 윗부분은 정밀폭약(FINEX)을 이용한다. 정밀폭약은 주변암반의 균열을 줄이는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래서 나무 블록으로 무언가를 만드는데 한계가 있었답니다. 그런데 1958년, 새로운 형태의 블록이 등장했어요. 올록볼록한 요철이 있어서 서로 끼울 수 있는 모양의 플라스틱 블록이었지요. 이게 바로 ‘레고’랍니다. 레고엔 똑같은 크기와 모양의 요철이 있어서 여러 개를 이어 튼튼한 조형물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재구성으로 배우는 원기둥, 원뿔, 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캔 내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합니다. 만약 캔이 사각기둥이나 삼각기둥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면 캔의 중간 부분이 쉽게 찌그러집니다.3. 원뿔의 특성을 활용한 해시계해시계를 만들 때 반구 대신 원뿔 모양을 이용하면 더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동물만을 이용했다. 또 독성시험에 대해서는 최종 보고서 형태로 모든 결과를 기재해 종합적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세라리니 교수의 논문에는 일부 결과만을 기재해 종합적인 판단을 하기가 어렵다. 당시 EFSA는 세라리니 박사에게 해당 실험에 대한 전체 데이터 공개를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한다. 느림보원숭이가 (일부러) 코브라를 흉내 낸다는 것이다. 코브라와 느림보원숭이의 형태(왼쪽 위 사진 참조)가 유사한 데다, 느림보원숭이가 위협받을 때 내는 ‘쉬익 쉬익’하는 소리가 코브라가 위협받을 때 내는 소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둘의 서식지도 겹친다.노련한 사냥꾼들이 다른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손목뼈 형성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느러미와 손가락은 형태는 다르지만, 관여하는 세포와 제어 과정이 매우 비슷하다”며 “지느러미 가시가 줄어들고 연골이 정교해지는 과정을 통해 지느러미에서 손으로의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슈빈 교수는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케이블이 연결된 사장교 형태로 만들고 주탑 사이는 케이블이 늘어져 있는 현수교의 형태를 취했다. ‘사장-현수교’라는 새로운 공법이다.현수교는 주탑 사이(경간)를 넓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장교보다 흔들림이 많고 강성(외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이 약해 철도로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양 끝이 붙어 있는 것을 매듭이라 한다. 이 중 교차점이 세 개인 세잎매듭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서로 거울짝꿍 관계다. 두 가지 매듭을 구분하려면 서로 거울 짝꿍 관계인 3차원 좌표 위에 있다고 생각하면 쉽다. 왼손과 오른손에서 각각 세 번째 손가락을 x축, 엄지를 y축, 두 번째 손가락을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