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으아악~~~!’이게 내 몸무게라니…, 믿을 수가 없어! 추운 날씨 때문에 겨울방학 내내 집에 움츠려 있기는 했지만, 이렇게 살이 쪘다니 정말 말도 안 돼. 이건 분명 우리 집에 있는 저울이 고장난 걸 거야! 그렇다고 말해 줘, 혜원 언니~.은우야~, 너무 속상해 하지 마. 네 말대로 저울이 고장난 걸 수 ... ...
- [수학을 사랑한 스타] 수학 사랑의 종결자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노래면 노래, 연기면 연기, 공부면 공부 뭐든 잘한다. 응? 공부? 가수라며! 특별히 수학과 과학을 잘하기로 소문난‘그’다. 2년 전 나라의 부름을 받고 늠름하게 나라를 지키다 돌아온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 그가 새로운‘선물’을 들고 팬들 앞에 나타났다.특기가 ‘수학’인 가수“그런 널 나는 ...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존 밀너 교수의 아벨상 수상을 축하합니다. 올해 아벨상이 연구업적뿐 아니라 글을 잘 쓰는 수학자에게 돌아갔다는 점에서 더욱 기쁩니다.”2003년 최초의 아벨상을 수상한 장 피에르 세르 교수가 한국을 처음으로 방문했다. 수학동아는 봄기운이 완연한 경북 포항 포스텍에서 그를 만났다. 85세의 ...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개나리와 벚꽃이 만개한 4월 14일 서울 충정로 동아사이언스에서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한양대 화학과 교수, 세계 화학의 해 조직위원장)과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이 만났다. 회원수 6000여 명의 국내 최대 화학자단체를 대표하는 김 회장과 연구원 1000여 명의 일터인 국내 최대 화학연구기관 ...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우리 곁에 있어야 할 가축이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한반도의 절반에만 소, 돼지, 닭 등 2763만 두의 가축이 산다는데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우리 곁을 떠난 가축의 이야기를 나눠보자. 어렸을 적 농촌에서 자란 나는 여러 동물들과 함께 살았다. 소여물을 주기 위해 날마다 볏짚을 잘게 잘랐다. ...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1000만 대 가까이 되면서 제2의 벤처 바람이 불고 있다. 성공 사례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지만 벤처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하지만 명문대 프리미엄을 버리고 도전에 나선 이들이 있다. 바로 서울대 벤처동아리인 ‘학생벤처네트워크’. 이들은 최근 미국 MIT와 함께 ‘MIT-글로 ... ...
- 입학담당관 전형 46%로 확대과학동아 l2011년 05호
- 2012학년도 영재고 입학전형이 발표됐다. 총 480명을 선발하는 전형에 5000명 이상의 수학·과학 영재들이 지원할 전망이다. 2012학년도 영재고 입학전형의 핵심은 무엇일까? 지난해와 비교해 달라진 점과, 올해 각 단계 전형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한국과학영재고와 서울과학고는 지 ...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이제 태양광에너지는 더 이상 대체에너지가 아닙니다.”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 에너지소재연구센터 문상진 박사는 화석연료를 기준으로 한 대체에너지란 용어가 머지않아 사라질 거라고 전망했다. 제한된 매장량에 중동과 북아프리카 정세 불안이 겹쳐 기름값은 해가 다르게 오르 ...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초기에 전문가들은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까지 오지 못한다고 예상했다. 강한 편서풍에 밀려 방사성 물질이 날아오지 못한다는 대기 모델을 바탕으로 예측한 결과였다. 하지만 최근 국내 곳곳에서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 세슘이 발견되고 있다.이런 방사성 물질이 어떤 경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