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어우~, 더워! 왜 이렇게 더운가 했더니 화산에서 입고 있던 방열복을 아직까지 안 벗고 있었구나? 방열복은 섭씨 수백 도를 오르내리는 화산을 탐사하는 데 필요한 필수품이거든. 휴~, 갈아입으니 시원하구나! 참, 내 소개를 해야지? 안녕? 나는 그 이름도 유명한 화산학자 ‘인디아나 쭌스’라고 한 ...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본지에서 무료 진로 상담자 모집공고를 낸 뒤, 독자들의 상담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국에서 다양한 독자들이 지원하고 있다. 개별 연락을 통해 신청자 모두에게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며,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신청자들은 전화로 상담을 진행했다. 신청자별로 1시간가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수학동아는 지난 호에 제25회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중등부 1차 시험을 대비해 KMO에 대한 정보와 함께 모의고사 문제를 제공했다. 이번 호에는 1차 시험을 상세히 분석해 소개한다. 2011 KMO 중등부 1차 시험 문제 분석지난 5월 14일 전국의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에서 수학 최고수를 가리는 제25회 KMO ...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칠레에서 발견된 소녀 미라. 칠레는 미라의 발상지다. 고대 민족인 친초로인은 다양한 미라를 만들었는데, 온몸을 진흙으로 감싼, 7000년이 넘은 미라도 존재한다. 이 지역 미라 중 어린아이를 박제처럼 만든 미라를 ‘친초로 미라’라고 부르기도 한다.]‘미라’라는 단어를 들으면 붕대를 칭칭 동 ...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지금부터 ‘제빵왕 김탁구 놀이’를 하며 미생물이 무엇인지 공부해 볼까요?”아이들 앞에 밀가루와 효모, 물이 준비돼 있다. 재료를 혼합해 비닐 봉투에 넣었더니 15분 뒤 탁구공 같던 반죽이 야구공처럼 부풀었다.“우와! 선생님, 이거 왜 커졌어요?”“효모라는 미생물이 발효해서 풍선에 공기 ...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3“일본 도쿄의 수돗물에서 1kg에 200베크렐 (Bq/kg)의 방사능이 나왔습니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방사능 허용 기준은 방사성 요오드 기준으로 300Bq/kg입니다. 어린이는 이보다 민감해서 100Bq/kg입니다. 과연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수돗물을 먹게 했을까요?”.지난 3월 31일, 환경재단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독도를 노리는 일본의 야욕은 그만! 이제 독도는 우리가 과학으로 지킨다. 정부가 독도에 종합해양과학기지를 지어 해상과 기상, 그리고 지진 자료를 수집하는 최첨단 관측소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곳에 과학기지를 세우면 귀중한 해상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독도 ...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과학잡지와 과학책을 즐겨 읽던 어린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돼 칼 세이건이 쓴 ‘코스모스’를 무려 12번 읽었다. 미국 사는 친척이 원서를 보내주자 영어 공부할 겸 다시 독파했다. 칼 세이건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답장까지 받았다. 그는 자라서 세계적인 과학철학자가 됐다. 동아일보 창간 기념 ...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KIST에서 개발한 영어교사 로봇 잉키. 영화 ‘써로게이트’처럼 인간과 감각을 주고 받을 수는 없지만 필리핀 등 해외에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가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쳐 줄 수 있다.2009년 개봉한 영화 ‘써로게이트’를 보면 원격 조종 로봇이 등장한다. 로봇을 먼 거리에서 조종한다는 ... ...
- 금혜원 사진전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금 작가는 원래 한국화를 전공했다. 하지만 도시의 빠른 변화 속도에 맞춰 작품 활동을 하기엔 사진이 더 적합한 매체라는 생각에 작업 방식을 바꿨다고 한다. 전시회에는 총 네 개의 연작이 전시되고 있다. 쓰레기 매립지였지만 지금은 공원이 된 난지도의 풍경을 담은 ‘녹색 커튼(Green Curtain)’,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