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단백질 결정 성장 실험이 가장 좋았다”고 답했다. 우주에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
에 비해 단백질이 더 크고 균일한, 질 좋은 결정으로 성장한다. 그는 그밖에도 다양한 실험을 했다. 자기장을 이용해서 식물의 뿌리를 한 방향으로 자라게 하는 실험과 미래 우주선이나 우주정거장에 사용할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우리나라처럼 딥러닝이라는 컴퓨터 관련 전문용어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나라도
지구
상에 또 없을 겁니다. 2016년 서울에서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대국에서 패하면서 딥러닝이라는 용어가 많이 알려졌죠.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사물을 잘 알아보게 만들기 위해서 가장 먼저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포항 단층에 줄 수 있는 영향을 계산한 결과 200~500Pa(파스칼)정도로 나왔어요. 이는 매일
지구
의 조석 운동(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치는 힘의 변화량과 비슷한 수준이죠. 물을 주입하면서 생긴 작은 지진들이 진원 근처에 준 수압 변화는 2만~15만Pa 정도이니 최소 수십 배 큰 것이지요. Q앞으로 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플라스틱은 자연상태에서 수백 년 동안 거의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플라스틱으로
지구
가 고통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그래서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등장했지요. 생분해란 흙이나 물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양 흑점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큰 추위가 올지도 알 수도 있지요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화학 조성 등을 탐사하며 생명체의 흔적이 있는지 조사한다. 드래건플라이는 2026년
지구
를 출발한 뒤 2034년 타이탄에 도착해 2년 이상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토마스 주부헨 NASA 과학임무국 부국장은 “드래건플라이가 타이탄에서 생명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내길 기대한다”며 “타이탄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서던크로스대
지구
과학과와 미국 마운트 사이나이 아이칸 의대 공동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테르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200만 년 전 고대 인류의 치아를 분석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식습관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5일자에 발표했다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하기 위해 마련한 거처다. 정확히는 사육실에 가깝다. 우리는 수억 년 전부터
지구
에서 살고 있는데, 고작 100만 년 전에 나타난 인간들이 우리를 너무 싫어한 탓에 여기서 연구 대상으로 사육되고 있다. 작고 여린 우리들은 주둥이 끝부터 꼬리 끝까지 이곳에서 낱낱이 파헤쳐지고 있다.여기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
력”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보면 시나리오도 바뀌고 이에 맞춰 캐릭터 디자인도 바뀔 수 있다”며 “애니메이터에게
지구
력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김 감독은 할리우드 배우 짐 캐리가 2014년 미국 마하리시대 졸업식 축사에서 했던 말을 인용하며 애니메이터를 꿈꾸는 대한민국 청소년들에게 응원을 보냈다. “좋아하는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아주 상세히 다뤘다. 그 영향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본은 얼마 지나지 않아 고성능
지구
관측위성시스템 구축 계획을 수립했다. 당시 계획한 위성들이 지금까지도 우주 궤도를 돌고 있다. 국내에 미친 파장도 적지 않았다. ‘도대체 그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나’ ‘한국도 조속히 우주 개발을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