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29일 인터넷 ‘네이처’ 사이언스 업데이트 코너에 소개됐다. 그 동안 지구에 떠있는 인공
위성
을 이용해 지구의 평균색을 알아내려 했지만,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 불가능했다.슈나이더 박사팀의 아이디어는 달이라는 ‘거울’에 비친 지구의 모습을 살피는 방법. 초승달이나 그믐달이 뜰 때처럼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일이다.과학자들은 인공
위성
을 이용한 원격탐사기술을 도입했다. 원격탐사기술은
위성
사진 정보와 실제 기상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구름이 얼마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바다위에 내리는 비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군사목적으로 적을 탐지하려고 개발된 레이더도 기상분야에서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윌슨이었다. 이들은 원래 정밀한 전파망원경을 사용해 전하늘을 관측하며 통신
위성
과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전파신호를 측정하려 했다. 그런데 예측 못하던 잡음이 사방팔방에서 잡혔다. 원인이 망원경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망원경의 부품을 모두 분해했다. 심지어 망원경 안에 사는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조긴 박사와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의 슬라웨드 툴락직 박사의 공동연구팀은 특수
위성
레이더를 이용해 관측한 결과, 서부남극에 위치한 로스빙하의 얼음량이 1년에 2천6백억t 정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 빙하시대 이후 1만여년 간 서부남극 지역의 얼음량이 점점 줄어들었던 것과는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조건만 갖춰지면 생명체는 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태양계의 화성과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는 과거나 현재에 이같은 미생물이 살았거나 살지 모른다고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초소형 칩으로 제작된다면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지능형 가전제품, 군용 통신기기,
위성
통신기기, 우주선과 같은 제품들도 함께 초소형화를 맛볼 수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기기의 단일 칩화는 단지 정보통신기기로의 응용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IMT2000과 PCS 한대의 기기로 서비스소형화와 함께 MEMS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석유 소비가 크게 늘면서, 전세계 석유사용량이 채굴능력을 앞지르고 있기 때문이다.인공
위성
을 이용한 첨단 석유탐사기술의 도입으로 지구에 남아있던 유전도 모두 찾았고, 고도의 석유채굴기술의 가동으로 세계 석유매장량이 급격히 고갈되고 있다. 석유수출기구는 올해 원유가격이 배럴당 5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 있을 것이다.
위성
의 움직임은 목성에서 멀리 있을수록 느리므로 움직이는 속도로도
위성
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특정한 때 보이는 대적반목성은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이므로 지구에서도 상당히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대개의 경우 천체망원경을 구입한 후 첫번째로 보는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잡듯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2005년에는 화성 정찰 궤도선이 발사돼 첩보
위성
수준인 20-30cm 해상도로 정밀한 탐사를 펼치게 된다. 이 정보는 화성의 이해뿐 아니라 인류의 화성 착륙장소를 선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풍선에서 비행기까지 기동성 확보하라미래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탈리아의 갈릴레이가 자신이 역사상 처음으로 발명한 망원경으로 발견한 목성의
위성
에 자신의 후원자였던 메디치 가문의 이름을 붙여줬던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18세기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화학자 데이비는 책 제본공 패러데이가 과학연구에 일생을 바치겠다고 하자 “과학은 돈이 많이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