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조사하는 연구가 부산대(이동섭 교수)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아울러 인공
위성
으로 동해전체를 감시하는 체계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머지않아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동해감시 체계가 세워져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다.동해가 진정 우리의 바다가 되기 위해서는 철저히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보이는 이런 모습은 천왕성에서 일어 났던 엄청난 사건의 단서일지도 모른다. 행성과
위성
의 모습을 변화시킬만한 사건이란 인류가 1994년 직접 목격한 목성과 혜성의 충돌 같은‘우주충돌’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태양계 초기에 천왕성이 지구 만한 크기의 천체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 ...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곳에 평판 안테나를 인쇄해 부착할 수 있다면 기존의 안테나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위성
TV를 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다. 고속버스에서도 깨끗한 영화나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휴대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어떨까. 얼마 전까지 휴대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외부의 안테나를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11월에는 소행성 탐사선인 뮤제스C호를 발사한다. 우리나라는 1992년 8월에 최초의 인공
위성
인‘우리별 1호’를 프랑스의 아리안 로켓으로 발사했다. 그리고 2005년에는 최초의 우주로켓을 발사할 예정이며, 2015년까지는 세계 10대 우주개발국가로의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전망은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m 정도의 빙벽이 있다. 1950년대부터 간간이 찍은 항공사진과 최근 우리나라 아리랑 인공
위성
에 잡힌 모습을 비교하면 빙벽이 녹아내려 그 위치가 뒤로물러난 것이 눈에 보인다.더구나 물러나는 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아주 빨라져, 최근 7년 동안의 후퇴량이 과거 38년 동안의 후퇴량보다 크다. ... ...
얼음 목걸이 두른 태양계의 꽃미남 토성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여정에 올랐다. 토성과 주변
위성
을 탐사하는 최초의 토성 궤도형 탐사선인 카시니에는
위성
타이탄의 최초 발견자인 호이겐스의 이름을 딴 소형탐사선이 부착돼 있다. 소형탐사선은 호이겐스의 후예들인 유럽우주기구에서 제작한 것으로, 낙하산을 이용해 타이탄에 착륙하게 된다. 그 뒤 4시간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우주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우주정거장이나 인공
위성
에 새로운 임무를 부여할 때도 진화 하드웨어칩을 이용하면 번거로운 과정 없이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또한 진화 하드웨어칩은 디지털 이동통신 분야에도 없어서는 안될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디지털 ... ...
목성의 새로운 가족 11개
위성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천문학자들이 하와이에 위치한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가족 구성원을 새로 관측한 결과, 11개의 꼬마
위성
이 추가로 발견 ... 신화에 등장하는 제우스의 연인을 본따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이들 새로운
위성
들의 공식적인 이름을 붙이기에는 연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보내 물 속에서 헤엄치고 있을지 모르는 생명체를 찾아볼 것이다. 따라서 목성과
위성
들이 만드는 다이내믹한 미니 태양계는 생명체 조사가 주된 21세기 태양계 탐사에서 중요한 목표가 된다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대한 정보가 충분치 않아 이에 따른 ‘오해’의 여지가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인공
위성
사진을 분석한 전문가들은 금강산댐에 보통 댐과는 다른 ‘위험징후’가 있다고 보고, 하루 속히 정밀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말한다. 금강산댐의 대응댐인 평화의댐 설계에 참여했던 강원대 토목공학과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