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물이야기04 - 남동석(Azurite) 아주리 군단의 푸른 태양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남동석은 오직 이곳에서만 발견된다. 남동석은 공기 에 몇 백 년 노출되면 사촌 격인 초록빛 공작석(Malachite)으로 바뀐다. 이 때문에 남동석 광물로 푸른 물감을 만들어 사용한 르네상스 시대의 명화들이 초록색으로 변색되기도 했다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존재한다.코어(핵) - 빛(광자)이 만들어진다. 고에너지 상태.광구 - 코어에서 만들어진 빛 알갱이가 드디어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눈에 보이는 최초의 지점이다.플레어 - 표면 섬광 현상. 태양 표면의 특정 지역이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이다.흑점 - 태양 광구에서 어두워 보이는 지점. 온도가 낮다.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떠오르기도 한다.하지만 화학은 식품과 요리의 기본 원리다. 발효가 일어난 김치, 그윽한 빛을 내는 진한 간장, 새콤하고 걸쭉한 요구르트 소스를 얹은 샐러드 등 많은 식품은 화학 반응(주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 반응)에 의해 그 맛과 향, 형태가 완성된다. 심지어 우리 몸이 음식물을 소화하고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정할 수 있 다(고 우린 믿는다).그런데 플랑크가 제안한 새로운 에너지 공식에 따 르면,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와 플랑크상수를 곱한 값 의 정확히 정수배만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수배 사이 의 에너지는 하늘이 무너져도 가질 수 없다. 이 설명이 이해가 되는가? 플랑크가 사용한 치료약은 흑체복사 에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태양열과 방사능을 막는 역할도 한답니다.그런데 실제로 달에 갈 로버는 은빛이 아닌 금빛을 낼 거라고 해요. MLI를 알루미늄박 대신 금박으로 만들 예정이거든요. 금은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이 뛰어나요. 그래서 같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로버를 감쌀 수 있는 표면적이 다른 금속보다 더 넓지요. ...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경로를 추적해야 하는 투명망토 기술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빛의 경로를 마이크로(100만분의 1) 단위에서 계산하기는 어렵습니다.연구팀은 복잡한 계산을 대신할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먼저 전기저항 역할을 하는 용수철을 한 변으로 하는 정육각형과 이것을 연결한 벌집 모양의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게 치우쳐 있지만 그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는 놀라운 천체를 발견했다. 항성처럼 빛이나 전파를 내지만 항성은 아닌 이 천체는 준성(QSO, quasi-stellar object) 또는 퀘이사(quasar)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매우 무거운 활동성 은하핵으로 추측하고 있다. 준성이나 X선 발광성 표면의 중력은 대단히 강하기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해요. 약 250m인 63빌딩 세 채가 줄지어 들어가도 자리가 남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지요. 빛이 불투명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원반의 가장자리에서 퍼졌다가 다시 중심에 모이는 원리랍니다. 원반이 매우 크기 때문에 허블보다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낼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처마의 각도를 바꾸면서 실내에 들어오는 햇빛을 조절하는 모습도 상상해볼 수 있다.한옥 호텔외국인 관광객이 한옥에 머무를 수 있도록 호텔을 한옥으로 지을 수도 있다. ‘부산 코모도 호텔’은 조선시대 왕궁을 그대로 재현한 독특한 외관을 자랑하며, 각 ...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기만 특별한 것이 아니에요. 우 교수팀이 관측한 이 퀘이사는 태양 420조 개가 동시에 빛을 내는 것만큼 밝았어요. 이전까지 가장 강한 에너지를 내는 것으로 관측된 퀘이사보다도 7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뿜어냈지요. 우 교수는 “이번 퀘이사와 블랙홀은 우주의 가장 밝은 등대와 같으며, 앞으로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