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저는 아주 얇습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중 하나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는 스스로 빛을 내는 형광성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LCD에 비해 훨씬 구조가 간단하며, 얇고 가벼운 게 특징입니다. 자체발광하는 소재니 훨씬 선명하기도 하고요. 잘 구부러져야 하는 플렉시블엔 OLED가 가장 적합한 소재지요.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뒤 모두 초점으로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과학자, 수학자가 정리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우주 공간 곳곳을 연구하는 데 쓰인다. ... ...
-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 오후 5시 51분에 찍혔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호텔’이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는 당시 지형을 재현한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빛을 비춰 시간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사진에 찍힌 그림자와 모형 그림자가 가장 비슷한 시각은 오후 5시 51분이었다. 텍사스주립대 도널드 교수는 “이로써 멘도사의 주장이 신빙성을 잃게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만 흡수하는데, 판도라는 어떤 파장의 빛이 사라지는지 살펴 대기 중 기체성분별 농도를 파악한다.각도를 바꿔가며 높이별로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판도라는 작동원리와 성능이 환경위성과 비슷해 ‘땅 위의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있다. 이 기억은 라일리의 인격을 이루는 ‘핵심기억’으로, 황금빛 구슬에 담겨 본부 한 가운데 놓여 있다. 왜 어떤 기억은 다른 기억보다 중요한 걸까.김 교수는 “사건 당시의 감정이 기억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매우 기쁘거나 슬픈 감정을 느낄 때 호르몬이 많이 분비돼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증명했다.헤르츠는 전자기파의 속도도 쟀다. 측정해보니 그값이 빛의 속도와 같았다. 빛도 전자기파의 한 종류임이 밝혀진 것이다. 전자기파 덕분에 우리는 오늘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헤르츠 자신은 전자기파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고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적색편이)을 발견했다. 빨강치우침은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관측결과가 더 빨간 빛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말한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천체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드지터 효과)는 걸 의미하는데, 우주가 팽창한다는 증거다. 허블은 자신이 찾아낸 외부은하 46개의 속도측정값을 논문으로 발표하며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해 잎을 넓게 발달시킨다. 반대로 빛이 부족하면 잎의 크기를 줄이고 보다 나은 빛 환경을 찾을 수 있게 줄기를 길게 만든다. 질소가 풍부한 토양을 만나면 곁뿌리를 늘려 질소를 마음껏 흡수하지만, 질소가 부족한 곳에서는 곁뿌리의 발달을 스스로 억제한다. 이렇게 외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해석이란 말을 북한에서는 ‘웃방향 해석’, 돌연변이를 ‘갑작변이’, 광전류를 ‘빛전류’라고 쓴다. 왜 달라졌을까일제 강점기 시대 한국(당시 조선)에서 사용하는 과학 용어는 대부분 일본을 통해서 들어왔다. 일본식 전문 용어는 같은 한자문화권이라는 이유로 광복 이후에도 선택이나 심의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측소는 미국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일명 라이고(LIGO)다.라이고는 빛의 간섭을 이용해 시공간의 진동을 측정하는 중력파 검출장치다. 중력파가 지나가면 시공간이 일정한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데, 그걸 측정한다. 시공간 변화가 워낙 작아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라이고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