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따로 생각해서는 복잡한 생명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나무
한두 그루만 보고서는 숲의 진면목을 알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광주과학기술원 시스템생물학연구소 소장인 김도한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팀은 지금까지는 개별적으로 진행했던 유전자와 ... ...
선비의 풍류 살리는 장중한 소리 거문고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파동을 겹쳐 진폭을 키우는 공명 현상으로 소리를 크게 만든다. 거문고는 오동
나무
와 밤
나무
를 붙여 만든 몸체가 울림통 역할을 한다.거문고 몸체의 머리쪽은 용두(龍頭), 꼬리쪽은 봉미(鳳尾)라고 부르는데, 몸체 중간에는 단단한 회양목으로 만든 괘가 16개 세워져 있다. 괘는 음을 조절하기 위해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함께 살고 있다. 키가 큰
나무
들이 주로 자라고 있는 이 초원에서 목이 긴 기린들은
나무
의 잎사귀를 손쉽게 뜯어먹을 수 있으나 목이 짧은 기린들은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결국 목이 짧은 기린들은 굶어 죽어 대가 끊기고 목이 긴 기린들만 살아남아 자손을 만들어내고 그 초원에는 목이 긴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문화재를 부식시키기도 한다. 배설물의 주요 성분인 요산이 강한 산성을 띠기 때문에
나무
나 돌이 견뎌내기 어렵다. 고궁에 가보면 처마 밑에 쳐둔 철망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비둘기가 둥지를 틀지 못하게 막기 위해서다.특히 피해가 큰 곳은 농가다. 과일을 비롯한 농작물을 비둘기가 떼로 ... ...
블루베리, 베리 굿!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수확 철이 되면 한
나무
도 며칠에 걸쳐 익은 것을 일일이 손으로 골라 따야 된다. 보통
나무
한 그루에 5kg정도 나온다.“블루베리는 버릴 게 없습니다. 껍질째 먹을 수 있고 씨도 아주 작아 잘 느껴지지 않지요.”아직 5월 중순이라 농원의 블루베리 나뭇가지에는 꽃이 막 떨어진 녹색의 열매가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중요하지만 그림이 그려진 틀이 수정된 부분을 찾는 일도 중요하다. 만약 그림이 그려진
나무
판이 쪼개져서 못을 박아 이어 붙였을 경우 X선 촬영으로 알아낼 수 있다.주변보다 차가운 색으로 복원손상된 그림에 대한 진단이 끝나면 어떤 방법을 이용해 그림을 복원할지 구상한다. 그림마다 손상된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공룡 3D 원목쑤저우인더스트리얼파크 | 4만 9000원원목 조각을 끼워 만드는 공룡이다.
나무
로 된 몸속에 전자회로가 들어 있어서 리모컨을 조종해 움직일 수 있다. 게다가 센서가 달려 있어 빛이나 소리를 감지하면 공룡이 울음소리를 내면서 걷기 시작한다.트리케라톱스코북 | 1만 8000원 → 1만 620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굶어 죽는다. 바로 두 동물이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는 증거다.그는 “만약 흰개미에게
나무
를 소화시키는 능력이 있었다 하더라도 뱃속의 미생물은 소화 능력을 더 향상시켰을 것”이라며 “결국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목재로 만든 선로 위를 다녔는데 이것이 철도의 선로를 제작할 때 기준이 됐다. 당시
나무
선로의 폭(궤간)은 마차를 끌던 노새의 엉덩이 너비였다. 사람만큼이나 노새도 몸 크기가 지역마다 달랐다. 이 때문에 선로도 폭이 제각각 다르게 건설됐다. 러시아는 1.534m의 넓은 궤간(광궤) 선로가, 일본은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열매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은 미선
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처럼 우리나라에만 사는
나무
가 세밀화와 함께 소개되고 있다. 토종 동식물이 세밀화와 함께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셈이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