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달을 보고 있지 않을 때 달은 과연 거기에 있을까?"라고 말하고 있다.그러나 1964년에
한쪽
중성자의 운동방향(사실은 스핀이란 각운동량이었지만)을 측정하면 다른 쪽도 결정된다는 '벨의 부등식'이 등장했다. 프랑스 태생 물리학자인 에리언 아스페크는 실험에 의해 '벨의 부등식'을 검증함으로써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이러한 전자들은 집단진동(collective oscillation)이란 협동현상(cooperative phenomena)을 보이면서
한쪽
끝에 전자가 유입되면 다른쪽으로 밀려 넘쳐 나는 한칸씩의 이동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이때 빛처럼 저항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터널링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디바이솔리드(Debye Solid)의 격자진동 ... ...
너무 많이 아는 것?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를 발명하였다.스핀 트랜지스터에서 전자는 금으로 만들어진 박막 필름의 어느
한쪽
면에 입혀진 두 줄의 자석 띠 중 하나에 일렬로 정렬된다. 만일 전자가 특정한 방향으로 자기장을 받으면 전자는 금박 위를 지나 한 쪽 띠에서 다른 쪽 띠로 이동되고, 이것으로 온 오프 스위치가 만들어진다. 스핀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풍선의
한쪽
을 누르면 다른
한쪽
이 튀어나오는 것처럼 각개 관측자의 운동상태에 따라
한쪽
의 시간이 '지연'되면 다른 쪽의 공간이 '확장'되는 기묘한 현상도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계에서 시간지연(time dilation), 길이단축(length contraction)현상이라 불리고 있는데 이미 실험적으로 충분히 증명된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칼새와 갈매기들이 나타나는 것 외에는 더 이상 지켜볼 새가 없어 철수했다. 그때
한쪽
능선에서 식물채집을 하고 있던 박재홍교수팀이 열심히 한 식물을 채취하고 있었다. 잔대의 변이종이라는 추측이 갈 뿐 자신있게 어느 것이라고 동정할 수 없어서 채취 중이었다.오후에는 화동 염전과 습지로 ... ...
화학- 모든 물질의 변화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 한제를 사용한다. 물이 새지 않는 2개의 주머니에
한쪽
에는 물을, 다른
한쪽
에는 염화암모늄을 넣는다. 물이 들어 있는 주머니를 터뜨리면, 염화암모늄이 물에 녹으면서 열에너지를 빼앗아간다. 이 주머니를 열이 심한 부위에 대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줄이면서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
생물에도 '왼손·오른손잡이'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4%정도 더 크게 만든다고 뱁콕 박사는 지적한다.가재를 비롯한 갑각류는 일반적으로
한쪽
집게발만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비대칭적인 신경 체계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재의 경우 큰 집게발에 문제가 생기면 나머지 집게발을 선호하도록 순화될 수도 있다.생물체가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나타낸다. 글자는 연필을 같은 방향으로 집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지우개가
한쪽
면으로 모이고 연필의 끝부분은 다른쪽 면에 모이게 된다.동시에, 같은 모양의 다른 구조가 지우개와 지우개가 접하듯이 겹쳐져서 형성된다. 스터프의 성공의 열쇠는 이들 층구조를 결합하는 방법을 발견한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빠른 것은 느려지고 느린 것은 빨라지면서 속도가 비슷해지면 아무리 부딪쳐도 어느
한쪽
이 다른 쪽보다 더 빨라지지 않는다. 이때 두 물체의 온도는 같아진 것이고 온도가 높은 물체가 온도가 낮은 물체에게 열을 준 것이 되며 이를 '열평형상태'라고 한다.뜨거운 물이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식는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하고 그 다음에는 동물과 식물이 적당히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중에 어느
한쪽
이 너무 많으면 작은 쪽은 살기 쉬워지지만 많은 쪽은 살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식물이 많으면 동물들은 먹을 것이 많아지고 산소가 풍부해져서 살기 쉽지만 식물들은 이산화탄소가 부족하여 살기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