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위치측정시스템(GPS)이용, 화산피해지역 복구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수신, 한쪽을 기준국으로 하여 두 대의 수신기의 상대측위를 먼저 평균낸 다음 다른 한쪽이 측량의 각 지점을 이동하면서 전파를 수신, 정확한 상대 위치를 산출해낸다. 그것도 고정밀도 3차원 위치측정이 가능하다. 기준국을 확실하게 설치하면 이동국쪽은 움직이는 차에 실어도 된다. 이 방법을 ... ...
- 물리- 왜 220V가 110V보다 유리한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밝은 전등이 만들어진다. 집에서 쓰던 전구가 끊어져 못쓰게 되었을 때, 이를 흔들면 한쪽끝이 다른쪽 중간에 걸리는 수가 있는데 이 경우 저항이 전보다 줄어들게 되고 이를 다시 끼워보면 더 밝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1).마찬가지로 5백W 풍로를 1천W로 만들려면 저항선을 빼서 반을 끊어내고 ...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그러나 실제로 웜홀여행이 가능하다고 믿는 천문학자들은 거의 없다. 무엇보다도 웜홀의 한쪽 끝 블랙홀에 로켓을 타고 접근하면 조종사가 강한 중력 때문에 가루가 되기 때문이다."블랙홀은 그다지 검지 않다"(Black holes arn't so black)는 호킹의 유명한 말은 블랙홀이 모든 것을 흡수하기만 하는 것이 ... ...
- 유전공학 6대 논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두개의 계통수로 나뉘어진 것이 확인됐다. 한쪽 가지는 아프리카인들 뿐이었으나 또 한쪽 가지는 아프리카인을 비롯, 모든 인종을 포함했다. 이는 현 인류의 선조가 아프리카에서 진화한 뒤 세계각지에 진출했음을 시사한다.이 미토콘드리아의 이브가 살있던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14만년에서 29만년 ...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병원에서 특정 환자들이 간혹 경험하는 증상이다. 즉 교통사고나 전쟁에서의 부상으로 한쪽 팔을 잃은 사람들이 마치 팔이 다시 붙어있는 것과 같은 감각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 환각 현상은 대단히 섬세하고 사실적이어서 어떤 때는 손가락들이 주먹을 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날은 손바닥을 ...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육체적인 모든 감각과 운동을 지배하는 곳이 또한 인간의 뇌신경이다. 뇌를 다치면 한쪽 팔이나 반신이 마비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식물인간이 된다. '뇌신경이 곧 인간 전체'라고 할 수 있다. 지능, 유전인가 환경영향인가흔히 IQ로 알려진 지능. 지능의 높고 낮음은 타고 나는 것일까. 환경에 ...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전기장 속에 놓여진 도체의 내부는 전기장이 0이다. 즉 전위가 모두 같다.이는 호수의 한쪽에만 물을 공급한다고 해서 그쪽의 수면이 다른 곳보다 높지 않은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높이 차이가 생기는 즉시 물은 스스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같은 높이로 만든다.이와 같은 ...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경우 대략 그 속에 들어있는 분자수는 2.5×${10}^{22}$개다. 따라서 이 경우에 기체분자가 한쪽으로 모두 이동할 확률을 계산하면 ${(1/2)}^{25,000,000,000,000,000,000,000}$ 로 그 값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매우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이렇게 확률이 적은 쪽으로의 변화는 진행되지 않으며 대신에 ...
- 너무 많이 아는 것?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를 발명하였다.스핀 트랜지스터에서 전자는 금으로 만들어진 박막 필름의 어느 한쪽 면에 입혀진 두 줄의 자석 띠 중 하나에 일렬로 정렬된다. 만일 전자가 특정한 방향으로 자기장을 받으면 전자는 금박 위를 지나 한 쪽 띠에서 다른 쪽 띠로 이동되고, 이것으로 온 오프 스위치가 만들어진다. 스핀 ... ...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달을 보고 있지 않을 때 달은 과연 거기에 있을까?"라고 말하고 있다.그러나 1964년에 한쪽 중성자의 운동방향(사실은 스핀이란 각운동량이었지만)을 측정하면 다른 쪽도 결정된다는 '벨의 부등식'이 등장했다. 프랑스 태생 물리학자인 에리언 아스페크는 실험에 의해 '벨의 부등식'을 검증함으로써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