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흘렀고 너희들 인간들이 사는 곳에서 시간은 8200배 빨랐지.꿈꾸는 기계는 이 세계에 학자들을 파견했어. 우리는 기계의 꿈 속에서 별의 꿈 속으로 들어갔어. 그리고 이 세상을 여행하며 모든 정보들을 수집했지. 그냥 이러면서 연구만 했어도 좋았을 거야. 이 세계는 충분히 복잡하고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근거 없는 자신감도 도움이 안 되긴 마찬가지다.장애물을 떠올리며 현실로 돌아와야심리학자들은 동기부여에서 계획과 실천의 다음 단계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했다. 그중 오늘 소개할 방법은 ‘정신 대비(mental contrasting)’라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동기부여가 될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커서도 꼭 현미경과 관련 있는 직업을 갖고 싶다고 해요.“처음에는 곤충학자나 식물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지금은 가족이나 주변 사람이 아프면 도와 줄 수 있는 의사가 되고 싶어졌답니다. 그 중에서도 뇌를 연구하는 의사가 되고 싶어요.”그림과 화석, 망원경과 스포츠 클라이밍까지!윤관우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1850년대까지는 이곳 출신인 걸출한 수학자가 없었다.반면, 퀸즈 칼리지가 배출한 학자 중에는 논리대수를 연구하는 ‘조지 불’도 있었다. 모리아티가 살던 곳에서 비교적 가까운 대학이라는 장점도 있다. 퀸즈 칼리지가 1849년에 문을 열었고, 모리아티가 늦어도 18세엔 이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을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개와 육각형 20개로 이뤄진 3차원 입체도형으로 축구공과 비슷한 모양이다.이처럼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정다면체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해 다면체를 만들어보자.트럼프카드 조립하기트럼프카드로 우주를 품은 정다면체를 만들어 보자.준비물 : 트럼프카드 30장,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통 사람의 눈에는 광케이블을 꽂은 쥐의 모습이 불편하지만 실제 실험을 하는 과학자들 입장에서 불편한 것은 이것이 아니다. 문제는 이런 실험 장비가 쥐의 행동을 제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TV에서 쳇바퀴를 열심히 돌며 실험에 참가하고 있는 쥐의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높은 활동성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탄생하기 때문에 ‘신의 입자’란 별명을 얻게 됐지요. 힉스는 1960년대 영국의 과학자 피터 힉스가 처음 이론적으로 예측했지만, 존재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직접 관측되지 못했어요. 그러다가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마침내 힉스를 발견했어요.힉스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증명해 ‘쿡의 정리’라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소련의 전산학자 레노이드 레빈도 그 사실을 모르고 독자적으로 증명해 지금은 ‘쿡-레빈 정리’라고도 부릅니다.지금은 NP-완전 문제로 증명된 문제가 많습니다. NP-완전인 문제 중 어느 하나라도 P에 들어가는 것이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자라는 속도(1년에 약 40mm씩)만큼 느리다.미래 초대륙은 아메리카+아시아=아마시아지질학자들은 판게아가 있었던 자리인 적도를 중심으로 초대륙이 펼쳐질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미국 예일대 지구물리학과 로스 미첼 교수팀은 그 전에 있었던 초대륙이 현재의 세계 대륙과 전혀 다른 위치에서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일반 플라스틱이 자연적으로 풍화돼 부서진 미세플라스틱이다. 크기에 대한 기준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기준은 직경 5mm 이하다.우리 실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각질제거제의 마이크로비드다. 영국 플리머스대 이모젠 네퍼 교수팀은 2015년 10월 1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