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번들거리고 키는 3미터 가량 되는 생물과 나는 한참을 말없이 마주하고 서 있었다. 과학자와 군인들이 전혀 다른 사실을 밝혀낼지도 모르지만, 나는 첫 번째 육체를 죽이고 두 번째 육체에 들어간 순간에, 등대가 무엇이고 등대 주인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한 가지 가설을 세웠다. 등대 주인의 문명은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대부분의 저자가 외국 학자이기 때문이다.그래서 이렇게 한국 과학자가 자신이 직접 연구한 내용을 쓴 책이 날아들면 정말 반갑다. 이 땅에 산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동물들을 저자는 밤낮으로 찾아 다니며 생태와 습성을 기록했다.그의 연구가 더욱 특별한 건, 우리나라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된다. 그래서 몇몇 수학자들은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기하서 연세대 교수는 “리만 가설과 소인수분해는 직접적인 관련이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어요. 수리생물학자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수리생물학자 중에는 금융회사나 구글, 페이스북 같은 회사에서 일하며 그 능력을 펼치는 사람도 있어요. 융합학문을 잘 알아야 하는 과학정책전문가 로 활약할 수도 있고요.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분야에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되는 선택을 한다고 주장했어. 이 이론은 약 200년간 유지됐는데 여기에 22살 어린 수학자가 반기를 들었어.”“설마 그 이론에 반기를 든 사람이…!”“맞아. 나였네. 게임이론을 공부하던 나는 다른 생각이 들었지.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여러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면 사람들은 자신에게만 이익이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철사로 만든 가짜 어미를 우리에 넣었다. 우유를 가진 건 철사로 만든 어미였다. 당시 학자들은 사랑은 식욕과 같은 원초적 본능이 충족돼야 발생하는 2차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새끼 원숭이가 당연히 우유를 가진 철사 어미 쪽으로 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원숭이는 천으로 만든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모집했다. 과학동아와 같이 태어난 이 쌍둥이 과학자들은 카이스트로 돌아와 벌써 중견 학자가 됐다. 30년 전의 앨범에서 찾은 그들을 찾아가 그때 그 시절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그때의 사진을 오늘의 카메라와 글로 재현했다.“산업디자인으로 전공을 바꾸려고 했을 때 아마 저기쯤에서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견되는 프테라노돈의 종류는 작은 벼슬을 가진 것과 큰 벼슬을 가진 것 두 가지인데, 과학자들은 이중 큰 벼슬을 가진 종류를 수컷으로 보고 있다.이렇게, 진화한 익룡의 식단 변화는 자신들에게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공룡시대를 대표하는 날짐승인 익룡이 비행능력이 아닌 걷는 능력과 식욕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현을 즐겨 씁니다. 모든 설명의 뿌리에 있는 근원적인 이론을 찾아 헤매는 물리학자들의 여정을 끝낼 만한 이론이죠. 물론 우리는 아직 그런 이론을 알지 못합니다. 존재한다고 확신할 수도 없죠. 그래서 저는 이것을 ‘꿈(Dream)’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