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될 문제가 많고, 기계학습이란 도전적인 이름과 달리 철저히 사람에게 종속돼 있다. 조금만 떨어져 인공지능과 딥러닝 전체를 살펴보면 인공지능의 시대는 아직 먼 이야기다.기출 문제에 없었어요 ㅜㅜ딥러닝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게 된 계기는 아마도 임의의 이미지를 보고 분류하는 ‘컴퓨터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처벌이 작용할 기회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내가 상대방을 다시 만날 기회가 있다면 조금 더 신중해야 합니다.이는 유명한 게임이론인 ‘죄수의 딜레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122쪽 참조). 전체 형량을 따졌을 때 두 사람에게 가장 이로운 선택은 두 사람 모두 혐의를 부인하는 것입니다. 서로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찾아줍니다. 19/14 는 대략 1.357이므로 1.5보다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한다면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이지요.슈쿠텔라 교수는 최대 용량이 L*+D 이하인 경우가 항상 있다는 기존의 추측은 틀렸다고도 밝혔습니다. 1998년 논문에서 세 명의 수학자는 바꾼 문제의 답에 원래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둑과 달리 장고에 빠지더라도 상대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실시간 게임에서 시간을 조금이라도 지체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이미 불리한 행동이다. 아무리 판단이 정확한 인공지능이라도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면 스타크래프트에 활용하기는 어렵다. 알파고는 슈퍼컴퓨터급의 하드웨어로도 최적의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형태입니다. 하지만 광양자통신은 광자하나에 정보를 실어 보내죠. 그렇다 보니 조금이라도 다른 형태로 변동되는 상황, 즉 노이즈(잡음)가 생기면 신호의 왜곡이 생겨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렵습니다. 광양자통신의 핵심은 이 노이즈를 줄이는 것입니다.방준휘 교수님은 노이즈를 줄이는 연구를 ...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엄마 어렸을 적에는 제비가 해마다 찾아왔었는데, 지금은 보이지 않는다고 하셔서 조금 걱정이 돼요.작년에는 처음이라 모든 게 서툴렀어요. 이제 작년 경험을 통해 탐사를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귀뚜라미를 발견하기가 힘들었는데, 올해는 종류도 구분할 수 있는 실력이 생기길 바라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고생했어! 다 끝났으니 야식 먹자!”시원이가 캠핑장 식당에서 기숙사 친구들인 파부르, 조금만, 오로라와 함께 시끌벅적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죽음의 주 동안 무척 고생한 듯 모두 꾀죄죄한 얼굴로 허겁지겁 라면을 끓이기 시작했지요. 과연 죽음의 주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대체 이들에게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계산한다.약간 어렵지만, 과학을 연구하거나 과학 기사를 읽을 때 알아두면 좋으니 조금만 더 설명해 보자. 유의확률의 정확한 정의는 ‘영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관측된 자료와 동등하거나 더 극단적인 자료가 관측될 확률’이다. 여기서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데이터가 영가설을 지지하지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공 포장을 했을 때보다 곰팡이균의 번식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반 온도도 조금 높일 수 있어 포장 온도를 낮추는 데 드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도 있었다.“플라스마 엔지니어링은 이론보다 열정”플라스마가 실제 산업에 사용되는 모습을 두 눈으로 보고 싶었다. 이왕이면 잘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했다. 실험 결과 소외감을 느낀 사람은 소외당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같은 감정이지만 조금씩 다른 표정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반면 아예 다른 표정을 구분하는 능력은 더 뛰어났다. 감정의 미묘한 변화보다는 관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차이에 집중한다는 뜻이다.이처럼 소외감을 느낀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