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두 개예요. 따라서 사물을 볼 때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는
조금
씩 달라요. 안 믿겨진다고요? 지금 한 손에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해요. 뇌의 신경가소성은 어린 시절 가장 활발하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금
씩 떨어져요. 그래서 어린 시절 새로운 언어나 운동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는 거지요.약시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가림치료’는 뇌의 신경가소성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가림치료란 시력이 잘 안 나오는 눈을 되살리기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못했거든요. 강연 직후 당장 정사각형이 여러 개 늘어선 격자에서 가로, 세로 길이를
조금
씩 바꿨어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큰 사각형을 이어 붙인 것이지요. 그러니까 이 사각형들이 뒤틀려서 2차원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거죠? 아저씨는 왜 다리를 하나씩 건너고 있어요?”수학자는 갑작스러운 단의 목소리에
조금
놀란 기색을 보였지만 곧 침착하게 대답했다.“마왕이 저를 이 도시에 가뒀어요. 이 도시에 있는 모든 다리를 한 번씩만 밟고 건너야 빠져나갈 수 있다더군요.”“모든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야 한다면…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수학뿐아니라 우리 실생활 곳곳에서 사용했는데, 이름은 지금과
조금
달랐다고 한다. 어떤 이름이었을까?사인곡선은 누가 처음 썼을까?우리가 쓰고 있는 삼각비 기호 sin, cos, tan은 각각 sine, cosine, tangent의 줄임말이다. 그런데 사실 지금의 삼각비 기호는 많은 변천을 거쳐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쫓기다보니 연구자 스스로도 확신을 가지기 힘든 데이터를 논문으로 내기도 합니다.
조금
더 연구해서 완벽하게 발표하고 싶은 마음이 왜 없겠습니까.”겉으로 보기엔 화려해 보이는 분야도 속을 들여다보면 마찬가지다. 얼마 전 중력파 발견에 기여해 주목받은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의 강궁원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부품화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생물의 특성상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유전자 서열이
조금
씩 다르다. 동일한 아미노산을 만드는 유전자 정보(코돈)라 하더라도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코돈이 달라 그 빈도를 맞춰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의 정보를 가진 DNA는 네 가지다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여부로 토양에서 MMO를 가진 미지의 미생물을 찾는다. 이후 MMO를 만드는 유전자를
조금
씩 변형해 여러 개 만든 뒤, 녹색형광의 세기를 기준으로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이는 유전자를 찾는다. 이승구 생명연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유전자에 작은 변이만 있어도 단백질의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될 문제가 많고, 기계학습이란 도전적인 이름과 달리 철저히 사람에게 종속돼 있다.
조금
만 떨어져 인공지능과 딥러닝 전체를 살펴보면 인공지능의 시대는 아직 먼 이야기다.기출 문제에 없었어요 ㅜㅜ딥러닝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게 된 계기는 아마도 임의의 이미지를 보고 분류하는 ‘컴퓨터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