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있다. VOD와 AOD 서비스다. 이를 통해 광고, 영화 예고편, 뮤직비디오, 노래방 서비스 등이 저장돼 있는 서버에 접속해 액정화면에서 즐길 수 있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대략 1백Kbps의 속도가 나온다면 2MB의 파일을 다운로드받는데는 산술적으로 20초의 시간이 걸린다. 이는 현재 랜(LAN)을 이용해서 ...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얻기 위한 노력이 SNP 컨소시엄에 의해 이뤄지고 있으며, 그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있다. 현재 3백만건이 수록돼 있으며, 이 중에서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1백80만건이 된다. Ensembl에는 이들 SNP가 인간 유전체 염색체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표시돼 있다. 유전자의 활성이나 발현에 영향을 ...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01년 09호
- 도움을 준다.만약 어떤 유전자와 단백질의 배열순서가 국제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돼 있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와 단백질의 배열순서와 비슷하면, 새로운 유전자와 단백질이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알고 가는 길이 편한 것처럼, 연구원은 효율적으로 새로운 유전자와 ...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자성을 띤 물질이다. 이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금속 산화물이나 합금을 이용한 정보저장소재의 정보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 소재의 정보 집적도 한계는 40GB/inch2 (1GB=109byte)이나 분자자성체를 이용하면 이를 수십 TB(1TB= 1012byte)까지 올릴 수 있다. 또한 기존 자성체에 비해 가볍고 ...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최근 10만개로 추정되는 인체 내 단백질 목록을 만드는 새 프로젝트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2년마다 인터넷 경진대회 개최2000년 5월부터 9월까지 제4차 CASP라는 대회가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열렸다. CASP(Critical Assessment of Techniques for Protein S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과학동아 l2001년 09호
- bV라고 가정한다. 일정한 비용으로 상온에서 저장할 수 있는 기체의 질량이 최대가 되는 저장탱크를 제작하려면 V/P값을 얼마로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소재는 자연과학에서 취했지만 실질적으로 수학 문제라고 봐야 한다.수학 영역을 대비할 별도의 시간이 없다면 명제, 미적분, ...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과학동아 l2001년 08호
- 후반에는 당분을 보충하는 일이 체력 유지와 신속한 피로 회복, 그리고 글리코겐 저장에 도움이 된다.운동 후 신체는 체내 글리코겐이 소모되고 근육이 손상받아 피로한 상태다. 즉 신속한 피로 회복과 글리코겐(탄수화물)의 보충이 요구된다. 따라서 운동 직후 30분 안에는 단당류 탄수화물을 ... ...
- 네트워크와 모바일 컴퓨팅 시공간 굴레 벗고 무선통신 즐긴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노트북이나 PDA를 들고 다니면서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된 텍스트를 읽을 수 있다면 모바일 컴퓨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움직이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모바일컴퓨팅이되는것은아니다.‘ 항상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 이런 ... ...
- 장마철 CD 주의 요망과학동아 l2001년 07호
- 경우에 따라서는 CD에 저장된 정보를 훼손하기도 한다고 강조했다. CD가 100% 안전한 정보저장매체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우리나라에서도 이 균은 밀감, 오렌지, 당근 등에 불쾌한 냄새를 풍기면서 물컹해지는 부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높을때 빠르게 ... ...
- 달콤한 물을 마시다!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얼마나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을까. 물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면서도 인체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은 극한 상황에 처하면 수분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호흡과 대사율을 낮추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생명체의 탄생·생존·진화의 신비로움은 자연스럽게 물과 연결된다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