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결국 염분 농도가 보통 바닷물보다 두 배나 높아지게 됐다. 이런 특수한 환경 덕분에 1000년 전부터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바닷가에서 자라나고 있다. 이 말은, 샤크베이에서 볼 수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아주 오래 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하지만 멀리 보이는 나무숲과 주위 사람들을 지워 ...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열린 현장교육에서는 비가 많이 내려서 신발과 옷이 다 흠뻑 젖어 버렸어요. 그때의 경험 덕분에 어떤 날씨에도 당당하게 야간 탐사를 나갈 수 있답니다.Q 지사탐 활동을 통해 달라진 점이 있나요?아이들이 주변의 생물들을 스스로 탐구하는 눈이 훌쩍 자랐답니다. 캠핑 갔을 때 잠자리 우화 장면을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플랫폼 아래가 비어 있기 때문에 파도가 플랫폼 아래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돼요. 이 덕분에 망망대해 위에서도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활약할 수 있답니다.얼음 띄워 인공섬 만든다북극 얼음으로 인공섬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두꺼운 얼음은 비행기가 뜨고 내려도 될 정도로 부력이 ...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결과 조개껍데기는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고, 소라껍데기는 빙글빙글 말려 있는 생김새 덕분에 넓은 면적이 외부 압력을 골고루 나눠 지탱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나사처럼 길쭉하게 생긴 소라껍데기는 조개처럼 껍데기가 한 장일 때보다 외부 압력을 2배 이상 지탱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행사에 가장 적합한 수준을 찾았다.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쉬운 설명서와 친절한 지도 덕분에 어린 친구들도 재미있게 지오데식 돔을 만들 수 있었다. 입학하기도 전에 파이의 축제 부스에 다녀갔다는 1학년 박민정 학생이 입을 열었다. “선배들의 부스를 체험해 보고, 정말 수학이 재미있게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kg이나 된다. 동물은 식물을 먹음으로써 질산염을 얻는다. 결국 거의 모든 생명체가 번개 덕분에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번개는 숲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대개 키가 큰 나무가 번개에 맞을 확률이 높은데, 나무가 번개를 맞으면 내성이 약해져 곤충이나 질병으로 결국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래서 21세기에 들어선 뒤로는 점점 더 많은 생물학자들이 수학을 활용하고 있다. 수학 덕분에 생물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서고 있는 셈이다.인터뷰수학으로 생명에 귀를 기울이다이언 스튜어트이언 스튜어트는 과학소설부터 수학 칼럼까지 쉽고 재미있는 글을 써온 수학자 겸 작가다. 모든 사람이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물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다양한 시선에서 그리는 입장을 큐비즘이라고 한답니다.큐비즘 덕분에 전 오래된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있었어요. 오랫동안 저는 3차원이나 4차원같이 높은 차원의 친구들을 보면 제 자신이 초라하게만 느껴졌죠. 그런데 큐비즘은 저만의 매력을 알려 줬어요. 굳이 3차원을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학습하려면 무엇보다 컴퓨팅 속도가 매우 중요한데, 강력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덕분에 연산 효율이 월등히 높아졌다. 기존 중앙처리장치(CPU)가 하던 작업 중 일부(병렬화가 가능한 반복 작업)를 GPU가 나눠 작업한 것이다.딥러닝 알고리듬 자체의 발전도 한몫 했다. 딥러닝은 캐나다 토론토대 제프리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6.5m짜리 반사망원경이예요. E-ELT나 TMT와 마찬가지로 육각형 거울을 조합한 형태로, 이 덕분에 허블보다 13배나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답니다.제임스 웹은 적외선을 주로 관측해요. 적외선은 열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태양빛의 방해가 적고,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