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파나마병에도 끄떡없이 살아남은 캐번디시 바나나를 키우기 시작했어요. 캐번디시
덕분
에 전세계 사람들은 다시 바나나를 즐겨 먹을 수 있게 됐지요. 그런데 그로부터 40년쯤 지난 1994년, 캐번디시 바나나를 공격하는 변종 파나마병이 돌기 시작했어요. 바나나, 넌 누구니?이럴 수가! 그로스 미셸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않고 버티는 정도가 철의 5~10배에 달합니다. 아주 촘촘하게 짜인 소재의 기하학적 구조
덕분
이죠.군집드론, 거리와 각도로 새떼처럼 날다최근 미국 해군은 여러 대의 드론을 한번에 투입하는 군집드론 시스템 ‘로커스트’를 발표했습니다. 로커스트는 1분 안에 드론 30대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호버보드는 물에서는 멈춘다). 영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200m나 되는 자성 트랙을 깐
덕분
이다.렉서스 호버보드가 나는 비결은 안에 들어 있는 초전도체와 액체질소다. 초전도체를 액체질소로 영하 197°C까지 얼린 뒤, 영구자석으로 만든 레일 위에 띄운다. 초전도체를 일정 온도까지 얼리면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들어가 산다. 식물 플랑크톤이 만들어내는 산소와 산호가 낳는 알(물고기의 먹이가 된다)
덕분
에 산호 근처에는 늘 다양한 해양생물이 북적댄다. 완벽한 수영 실력을 뽐냈던 강민주 양(경기 고양 백석고 1)은 해삼을 건져 올리기도 했다. 호두를 길게 늘인 것처럼 생긴 해삼은 두 손을 한 가득 메울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등 일상에서 친숙한 소재로 풀었다. 이야기 중심의 파격적인 서술 방식과 친절한 설명
덕분
에 연재 당시에 고정 팬이 많았다. 이번 출간에 맞춰, 이 교수는 이 글들을 다시 1년 반에 걸쳐 다듬고 보충했다.이 책은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독특하다. 땅에서 직접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운반하는 원리를 밝힌 것도 ‘레비 워크’라는 수학 개념을 알고 있는 연구원
덕분
이었다.레비 워크는 프랑스 수학자 폴 레비가 고안한 개념으로, 목표물을 찾아 움직일 때 처음에는 좁은 영역에서 빈번하게 움직이다가 마치 ‘점프’를 하듯이 한 번에 긴 거리를 이동한 뒤 그곳에서 비슷한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009년을 보내야 했다. 2009년 이전에는 투수력이 그리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넓은 외야
덕분
에 피홈런은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그것이 와르르 무너졌다. 결국 X존은 이듬해인 2010년 시즌이 끝나고 사라졌다.내년에는 넥센과 삼성이 새로운 구장으로 옮길 예정이다. 그 구장에서는 또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순간까지 열정을 쏟았던 성가족 성당의 기둥에는 플라타너스 나무의 모습을 덧입혔다.
덕분
에 그곳을 찾은 많은 사람들이 숲 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곤 한다. 하지만 그 여러 갈래의 가지들이 이루어낸 경쾌함은 돌이라는 재료의 본성을 쫓아 가우디가 10여 년간 연구해온 기술적인 결과물이기도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한스 크리스티앙 외르스테드는 전기와 자기가 동등한 것이라고 믿었다. 그 믿음
덕분
에 전류가 자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혀냈다. 영국의 마이클 패러데이는 역으로 자석의 운동을 이용해 전류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전기와 자기와 빛을 모두 합해 멋진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문이에요. 콜라겐은 단백질 사슬 3개가 밧줄처럼 얽힌 구조예요. 이런 정교한 구조
덕분
에 큰 강도를 지녀 근섬유 다발을 잘 묶고 있는 거지요.하지만 콜라겐은 섭씨 60~70℃에 이르면 단백질 구조가 풀리기 시작해서 젤라틴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어요. 따라서 열에 의해 근섬유가 질겨지는 것을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