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조선 중간갑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금년초
대형
유조선침몰로 해상에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국제해사기구(IMO)는 유조선의 구조에 관한 규정을 고쳐 '오는 7월 이후에 건조되는 5천t 이상의 유조선은 이중선각 또는 그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구조라야 한다'고 못박았다. 일본 도쿄대 선박해양공학과 오쓰보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통해 알 수 있었다.전세계에서 한반도에만 서식하고 있는 크낙새는 전장이 40㎝를 넘는
대형
딱따구리의 일종이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절종위기'(Red Data Book)에 등록돼 있는 이 희귀조는 일본 쓰시마섬에서 잡힌 표본이 1879년 영국인 트리스트람(Tristram)에 의해 Drgocopus richardsi Tristram이란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종결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2차 대전 중에 급격히 발전된 전파공학은
대형
전파망원경과 고주파 전파 수신기의 개발을 가능케 했으며, 그 결과 광학 관측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두 은하 간의 충돌 현상이나 초신성 잔해의 구조 규명 등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또한 캠브리지대학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우주에서 얇은 플라스틱 조각을 다루는 기술과 태양광선의 힘을 이용해 가동될 미래의
대형
우주선 개발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는 것이다.'궤도 위의 붉은 별'의 저자이자 러시아우주계획 전문가인 휴스턴의 오버그(James E. Oberg)는 "우주거울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생각이지요. 이제 그것이 제대로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새로운 관측소를 설립할 예정이다(90년대 중반 완공 예정).각국의 국립천문대가 주도하는
대형
망원경 계획말고는 석유왕 케크가 기부한 돈을 가지고 캘리포니아 대학팀의 넬슨이 만든 케크망원경이 주목을 받고 있다. 1.8m짜리 36매를 조합해 만든 케크망원경은 지름 10m짜리에 버금간다. 하와이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94년에는 경북 영천군 보현산 정상에 세계 어디에다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직경 1.8m의
대형
광학 망원경이 완공될 예정으로 있어, 벌써부터 천문학 관계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다.최근 선진국에서는 보다 선명한 관측 또는 지구 대기를 투과할 수 없는 빛의 관측을 위하여 천체 망원경을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망원경을 보유하였고 1960년대 초에는 1.8m 망원경을 설치하였으며 현재는 하와이에 8.2m의
대형
망원경을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놓고 볼 때 무역규모 세계 12위인 우리나라도 이에 걸맞는 국제수준의 천문대를 보유해야하는 필요성은 충분히 있다 하겠다.천문대의 위치선정에서 고려되어야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고속 예인 수조시설을 갖춘 연구소가 1곳 이상씩 있다.일본에서는 정부의 지원아래
대형
7대 조선소가 연구조합을 결성해 개발중에 있다. 이미 조선산업이 사양화된 미국과 유럽의 여러나라에서도 초고속선의 수요증가에 맞추어 부가가치가 크고 기술경쟁 상품인 초고속선을 군용 선박개발이라는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중시한다. 이러한 장르의 게임은 미국의 한 대학생이 자신이 다니던 학교에 있는
대형
컴퓨터(PDP-11)를 사용해 만든 것이 시초라고 알려진다. 이 게임은 후에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애플 Ⅱ와 TRS-80용으로 바꿔 PC 유저들에게 커다란 환영을 받았다.어드벤처 게임의 대표작으로는 루카스아츠의 원숭이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빛에 가까운 속도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리게 한 후 충돌시킨다. 두곳의 충돌지점에
대형
검출기를 설치하여 각각 새로운 에너지 영역의 입자물리 실험을 준비중이다.이 원형가속기의 둘레는 자그만치 87㎞에 달하는데 이는 서울에서 천안까지의 거리다. 각각의 양성자들은 다발로 묶여져 아주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