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힘든 7, 8등성의 어두운 별들까지도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고 여기에 가이드촬영을 하면
대형
망원경에서나 볼 수 있는 12등성까지도 망원경보다 넓은 시야에서 두고두고 볼 수 있는 것이다.여러가지 필터를 조합해 찍으면 희미하여 구별이 잘 안되었던 성운 성단들도 그 베일을 벗고 본래의 모습을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일종의 공룡계의 패션이 되었던 듯하다. 이를 '수검진화'라 한다. 북아프리카에 서식하던
대형
육식공룡 스피노사우루스나 조룡인 오우라노사우루스가 역시 등의 격돌기를 길게 늘이고 있었다. 등에 특대의 등지느러미와 같은 '방패'를 매단 공룡의 모습은 도감 등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계통이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동체 앞뒤쪽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로터를 장착하기도 하는데, 미국의
대형
수송헬기 CH-47치누크(Chinook)와 보잉(Boeing)사의 N234CH 등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옛소련의 대 잠수함 작전용 헬기인 Ka-25 호르몬(Hormone)과 다목적 헬기 Ka-32T는 위아래 이중으로 엇갈려 회전하는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포란해 주위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황새는 황새목(目) 황새과(科)의 한 종으로
대형
이며 겨울철에 일정기간 머무르다 가는 겨울새인데, 천연기념물 제 1백99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암수 모두 흰색이나 날개 하단부위는 검은색의 깃을 가지고 있으며 나출된 부위인 눈꺼풀과 다리 부분은 ... ...
꿈의 '벽걸이형 TV' 실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1897년 독일의 칼 브라운이 브라운관을 발명한 지 이미 1백년 가까이 된다. 흑백에서 컬러로, 화질의 향상 등 브라운관은 그 사이 많은 진보를 거듭 ... 20인치가 한계라고 한다. 다만 20-25인치 정도까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그 이상의
대형
플랫 비전의 실현은 시간문제가 될 것이라고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전체 판매량은 업체마다 추정량이 크게 차이나는데 드라이브 보급 확대와 삼성 금성 등
대형
업체들이 CD-ROM 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어 올해 말까지 판매량이 1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PC의 고기능화 부추겨멀티미디어 분야가 미래의 전자산업을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목의 조직을 통해 나온다는 것. 또 수면 아래의 소리는 귀 대신 턱뼈로 듣는다고 말했다.
대형
동물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포유류도 아닌 악어(파충류)가 초저주파 음파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관련학자들을 다소 당황하게 했다. 하지만 악어의 초저주파 음파에 기인한 진동은 너무도 명백하다. 가끔 ... ...
PART. 1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부쩍 감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토데스크 볼랜드 로터스 마이크로소프트 노벨 워드퍼펙 고 등 미국에 근거한 9개의
대형
소프트웨어 개발사들이 모여 지난 88년 창립한 이익단체. BSA측은 작년 한햇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82% 이상을 불법복제본으로 추정하고 있었다.BSA의 건의에 앞서 '불법 복제 왕국'이란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고기능 재료를 제외하고 많은 것을 달에서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우주발전소는
대형
구조물이지만 그 건설 방법은 오히려 단순하다. 지상 고층건물을 조립식화한 콘크리트 블럭을 적층해 조합하는 것처럼, 우주발전소도 지상 또는 LEO에서 기본구조를 만들고 정지궤도에서 조합하는 단순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저 유명한 안드로메다은하의 경우도 나선팔을 식별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대형
망원경이 아니고서는 그저 뿌연 성운의 모습으로 보일 뿐이다.나선은하는 우리의 시선 방향으로 놓인 위치에 따라 모습과 밝기가 다르다. 보통 나선은하가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 모습은 표면밝기가 낮아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