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것이 있다. 슬라이드가 그것. 슬라이드를 그냥 미끄럼타듯 타고 내려오면 수영복에
구멍
이 뚫리는 것은 물론이고 살갗이 벗겨질 정도로 열이 날 것이다. 이 또한 마찰력 때문이다. 이를 막기 위해 수영장 슬라이드에는 물을 흘려 보낸다. 마찰을 줄여 득을 보는 다른 예이다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너지를 좁은 면적에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금속을 자르거나
구멍
을 뚫거나 용접할 수 있다. 또 안과병원에서는 조직을 상하지 않으면서 망막수술을 하기도 한다. 레이저로 암을 치료하는 것도 같은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광통신에도 그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
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8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제안됐던 '빛이 탈출할 수 없는 천체'는 2백여년이 지난 후인 1969년 물리학자 존 휠러(John Wheeler)에 의해 '블랙홀'이라는 공식명칭을 얻게 됐다. 이름만큼이나 신비에 쌓여 있던 블랙홀은 천문학자들의 끊임없는 탐구와 관측기술의 발달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블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같은 조그만
구멍
이 뚫린 기구가 놓여 있다. 화가는 한 눈을 감고 이 기구의 조그만
구멍
을 통해 격자무늬의 창 너머에 있는 모델을 책상 위에 펼쳐놓은 모눈종이에 옮겨 그린다.화가는 그림이 다 끝날 때까지 눈을 움직여서는 안 됐다. 눈을 움직이면 보는 위치가 틀려져 원근법적으로 맞지가 않기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비용을 지불해야큰 공과 작은 공이 1백개씩 섞여 있는 경우에는 적당한 크기의
구멍
이 뚫린 필터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두 가지 공을 분리할 수 있다. 크기가 같더라도 무게가 서로 다른 공이 섞여 있다면 공이 담겨 있는 그릇을 잘 흔들어주면 무거운 공이 아래로 내려가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수학적으로 고안해냈다. 튜링머신은 명령어와 프로그램에 의해 움직이는데, 튜링은
구멍
뚫린 종이테이프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면 마치 자동기계처럼 컴퓨터가 작동할 것이고 설명했다. 헝가리 출신의 프린스턴대학 수학교수인 폰 노이만(1903-1957)이 그의 아이디어를 보고 프린스턴에서 함께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반사율 차이 이용광기록의 원리는 햇빛을 볼록 렌즈로 모아 종이를 태워 작은
구멍
을 내는 것과 유사하다. 햇빛 대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렌즈에 통과시켜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들어 매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매체에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가장 먼저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또한 창문이 필요하기 때문에 둘레에 적당한 개구부가 필요하다. 결국 건물 외피에
구멍
이 난 튜브가 고층 건축구조물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이 간단한 개념을 고층건물에 적용시킨 것이 바로 튜브 시스템이라 불리는 고층구조 시스템이다(그림1).여의도에 있는 쌍둥이 빌딩과 ... ...
고대) 로제타스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생겨 죽은 자의 자문을 구하고자 할 때 주술사는 잘 다듬은 거북 껍질이나 동물 뼈의
구멍
에 벌겋게 달아오른 쇠막대기를 집어 넣는다. 이때 뜨거운 열 때문에 껍질에는 균열이 생긴다. 이 모양은 죽은 자의 메시지로 믿어졌고, 이를 해독하는 것이 주술사의 몫이었다.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그는 셀렌 광전지판 앞에 24개의
구멍
을 뚫은 원판을 두고 이를 모터로 돌렸다.
구멍
을 통해 물체의 이미지를 담은 빛이 순차적으로 광전지에 도달하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하는 신호 역시 순차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수많은 광전지에서 발생한 신호를 한개의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