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집속하기 쉬운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렇게 집속된 에너지는 순간적으로 텅스텐에
구멍
을 뚫을 정도다.청자색 레이저 가능케 한 질화물 반도체현재 유도방출을 일으키는 발광재료로는 기체와 고체, 그리고 반도체가 있다. 이런 고체와 기체의 레이저로는 여러 파장의 빛이 만들어진다. 고체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천을 두르는 등 몸을 가릴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한다. 또 밖을 볼 수 있는 최소한의
구멍
만 내고 눈을 천으로 가리는 것도 눈을 보호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이다.바닷물 마시지 못하는 이유어느 극한 상황에서든 사람이 섭취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이다.특히 작열하는 태양 탓에 금방 갈증이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다. 이 가운데 5′(1′=60분의 1°) 크기의 B86은 별들이 사라져 사각형 모양의 텅빈
구멍
으로 보이는데 주변 별구름과 흑백의 대조가 강렬하다.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만 남십자성 아래에 있는 ‘석탄자루’(coalsack)도 유명한 암흑성운 중에 하나다. 주위의 찬란한 1등성들 사이에서 맨눈에도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모래처럼 일정하지 않다. 드럼통에
구멍
을 뚫어 물줄기를 밖으로 흐르게 하는 경우,
구멍
을 중간에 뚫었을 때보다 바닥에 뚫었을 때 물줄기의 흐름은 더 세다. 이처럼 액체는 위에서 누르는 압력에 따라 물줄기의 속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모래시계를 물로 채울 경우 물줄기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특별한 구조를 하고 있다.또 성벽 윗부분의 화살구라는
구멍
은 먼 곳을 보기 위한 것인지,가까운 곳을 보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르다.이외에도 덕수궁의 물시계와 해시계,그리고 천상열차분야지도,세종대왕기념관의 측우기와 수표 등 이미 과학문화재로 알려진 ... ...
북극 오존층 파괴하는 산성구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오래 지속돼 북극의 오존층이 심하게 파괴됐다”며 남극의 오존층 파괴로 나타난 오존
구멍
처럼 북극도 그렇게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또 콜로라도 대학의 오웬 툰은 염소의 양이 감소하더라도 산성구름이 오래 지속되면 오존층 파괴는 계속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올라온 두개의 긴 선은 작은 원을 통과하고 4개의 선 끝은 각기 2개의 계형 양끝에 있는
구멍
을 뚫고 나와 고정된다.이제 백각환은 시각눈금이 되고 계형으로 연결된 실은 시침이 된다. 계형을 돌려 태양의 방향을 맞추면 계형의 앞쪽 실의 그림자가 바로 뒤쪽 실의 그림자와 겹쳐진다. 즉 두개의 실과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타는 수간화는 지표화로부터 연소되는 경우가 많다. 고사목이나 고목의 줄기에
구멍
이 생겨 나무의 목질부가 죽어 있는 늙은 나무에 불이 붙어 목질부가 타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고사목이나 고목이 많은 숲에서 일어나기 쉽지만 80% 이상의 산림이 20-30년생 미만의 어린 숲으로 구성된 우리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완전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것은 일본과 몽고의 군선이 쇠못을 사용해 풍랑에 쇠못
구멍
이 점차 넓어져 자연 파손됐으나, 고려 군선은 나무못을 사용하고 가룡목이 풍랑에도 선체를 지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신도시를 만든 조운선(漕運船)조선이 건국되면서 수도를 개성에서 지금의 서울인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뼈들에 붙은 살은 게들이 깨끗하게 청소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긁힌 자국과
구멍
이 뼈에 남았다.버려진 뼈들은 굴이 알을 낳을 수 있는 딱딱한 기반을 제공했다. 굴은 뼈 위에서 껍질을 만들어 2cm 정도 자란 후 죽을 운명에 처하고 만다. 왜냐하면 계속 퇴적되는 점토와 모래가 뼈를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