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05
떠났다.빛의 축제 운영위원장으로 태평양을 건너 온 빛을 제일 먼저 받은 부산대 물리
학과
한창길 교수는 "빛을 평양으로 보내지 못해 아쉽다"며 "아인슈타인의 빛에 통일의 염원까지 담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05
뇌의 특정 신경세포를 제거해 기억을 지우는 장면이 나온다. 강원대 심리
학과
강은주 교수는 “기억은 한군데가 아니라 뇌의 여러 부분에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돼 있다”며 “컴퓨터처럼 뇌의 특정 부위를 제거해 특정 정보를 지우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특히 오래된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05
얼음덩어리로 된 혜성에 특히 효과적이다. NASA와 관련 연구를 함께 해온 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박상영 교수는 “소행성이나 혜성에 레이저를 쏘면 물질이 기화돼 가스로 분출된다”고 밝혔다. 분출되는 가스의 추진력이 천체의 궤도를 바꾼다. 이 방법은 천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05
“학생들이 수학에 정을 떼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안타까워했다.전문가들은 인도가 수
학과
IT에 강한 점을 19단에서 찾는 것은 무리라고 말한다. 복잡한 생각하기를 즐기고 어려운 수학을 생활 속에서 일반화한 전통이 인도가 수학에 강한 진짜 이유다. 더구나 인도가 세계 수학을 이끌어 가는 것도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뒤돌아서면 바로 잊어버리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공포 기억을 연구하는 고려대 심리
학과
최준식 교수는 “두려움은 강한 정서적 자극”이라며 “야단치거나 체벌을 가하는 것처럼 두려움을 일으키는 교사의 행동이 학생의 뇌가 작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선생님이 갑자기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05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대학수학회 교육이사인 수원대 수
학과
이상욱 교수는 “시대가 바뀌면 고교 수학도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본질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수학의 원리와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오직 문제 푸는 법만 배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05
고스톱 사이트를 처음 만든 사람이 경희대 천문우주
학과
졸업생인 것 몰랐죠? 요즘 천문
학과
나온 사람들이 왜 이런 생각 안 하는지 몰라. 우주는 손대면 다 처음이에요.”그는 책도 참 많이 냈다. 어렸을 때 읽을만한 천문학 책이 없어서 아쉬웠기 때문이란다. 이번에 낸 책 이름은 ‘아인슈타인과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떠나 볼까요?★★★ 장순근 박사님은1946년 함경남도 안변 출생1969년 서울대학교 지질
학과
졸업1975년 서울대학교 지질학 석사1980년 프랑스 보르도1대학 지질학 박사1980년-현재 한국해양연구원 근무1984년-198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연수1988년-1989년 1차 남극 세종기지 월동대장1990년-1992년 4차 남극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04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일들을 우리는 어떻게 자각하고 의식할까? 자신이 누구인지, 주변 환경은 어떤지 어떻게 알까? 이 같은 의식에 대한 물음은 수십세기에 걸쳐 철학자들의 주요 관심거리였다. 그러나 최근 신경과학자들에게도 점점 중요한, 그리고 해결 가능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나는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돌게 하지만 강한 신맛은 사람 뿐 아니라 동물도 거부한다. 왜 그럴까. 경북대 생물
학과
김언경 교수는 “음식을 부패시키는 미생물은 산을 내므로 강한 신맛은 오염된 음식이니 뱉으라는 경고”라며 “풋과일의 시큼한 맛도 아직 당분이 충분치 않아 영양가가 없다는 신호”라고 설명한다.짠맛과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