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조상"(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2016.09.12
- 살고 있었음을 강력히 시사하기 때문이다. 또 다양한 생물에 대한 게놈을 분석해 공통조상, 즉 최초의 생명이 언제 나타났는가를 계산한 결과 40억 년이 넘는 것으로 나왔다. 더 오래된 생명의 흔적을 찾으려면 호주나 남아공에서 발견되는 35억 년 전 퇴적암보다 더 오래 된 퇴적암을 찾아야 한다. ... ...
- 비움으로 더 풍요로워지는 삶, 미니멀 라이프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미니멀(minimal)한 삶에 대한 서적이 대거 출판되고 있다. 사실상 미니멀 라이프의 조상 격이라고 부를만한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고전 <월든>은 몇 년 전부터 꾸준하게 재출간되고 있다. 미국계 미니멀 라이프의 슈퍼스타인 조슈아 필즈 밀번, 라이언 니커디머스가 쓴 책 <두 남자의 미니멀 ... ...
- 다이어트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줄면서 신체의 호르몬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앞으로 다가온 추석 연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온가족이 모여앉아 먹는 명절음식은 생각만 해도 침이 고인다. 비단 음식에 대한 유혹뿐만이 아니다. 제대로 알지 못하고 하는 다이어트는 체중 조절 실패에 더해 건강까지 해칠 수 있다. ... ...
- 여름 보양식의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8.18
- 태아 성장 발육에 이롭다. 비타민과 유기산이 풍부한 제철 음식도 좋아 우리 조상들이 고단백식만 즐겨 먹었다면 이것 또한 큰 오해이다. 제철 채소와 과일도 즐겨 먹었다. 수분이 많은 시원한 수박과 참외가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었다. 그리고 싱싱한 상추를 비롯한 쌈 채소를 맛있는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0만 년 전에는 호빗의 체격에 도달했다는 말이다. 다만 이번 발굴로 호모 하빌리스가 직계조상이라는 가능성까지 배제된 건 아니다. 더 많은 발굴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번 두 편의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이 오른 마이크 모우드 교수는 2013년 63세에 암으로 사망했다. 호빗 두개골을 지켜보는 ...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2016.03.07
- 1~3%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 게놈의 주인공은 불과 4~6세대 위의 조상이 네안데르탈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는 약 4만7000년~6만5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이 현생인류로 흘러들어갔다는 추정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소나 돼지들은 오랜 세월 동안 품종이 개량된 결과물입니다. 들소와 소, 멧돼지와 돼지는 조상이 같지만 그 특징이 확연히 다르죠. 눈으로 대충 보아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에 비해 물고기는 육종의 역사가 50년 정도로 매우 짧아요. 육지에서는 벌써 수천 년 전부터 해 온 ‘키워서 ...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 년 전 해양에서 살았던 고래 바실로사우루스(Basilosaurus, 수염고래와 이빨고래의 최근 공통조상)의 미오글로빈 표면전하는 +3.7이었고 농도는 21mg/g이었다. 한편 파키세투스는 늑대만했던 데 반해 바실로사우루스는 몸무게가 6.5톤에 달했다. 연구자들은 몸무게와 미오글로빈 농도를 바탕으로 ... ...
- [COOKING의 과학]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KISTI l2015.11.07
- 하기도 했다. 실제로도 무에는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가 있어 소화를 돕는다. 우리 조상들은 생활 속에서 이 지혜를 알았던 것 같다. 특히 잘 발효된 동치미 국물 한 사발을 마시면 속이 시원해지는 경험을 한국인이라면 한 번쯤은 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떡 상차림에는 반드시 동치미를 함께 ... ...
-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KISTI l2015.09.27
- 소금물에 흔들어 씻는다. 대하는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 과거 조선시대에도 우리 조상들은 대하를 무척 즐겼다. 서유구의 (1820)에서는 “빛깔이 붉고 길이가 한 자 남짓 한 것을 대하라고 하는데 회에 좋고, 국으로도 좋고, 그대로 말려서 안주로도 한다”고 적어두었다. 또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