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카피
사본
재생
재현
복원
재생산
스페셜
"
복제
"(으)로 총 34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인공지능, 코로나와의 전쟁 끝낼 주력군 양성한다
2020.09.25
합성 약품은 인체에 침입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직접 결합해 세포 침입이나 유전물질
복제
또는 숙주 세포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을 차단하는 게 목적이다. AI가 코로나 전쟁을 끝낼 주력군을 양성하는 셈이다. ※ 참고자료 https://spectrum.ieee.org/artificial-intelligence/medical-ai/can-ai-and-automation-deliver-a-covid19 ... ...
[뉴스룸] 과학뉴스가 바이러스의 길을 걷지 않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하지만 잘못 생각했다. 이후 이 기사는 온갖 매체에 거의 똑같은 제목으로 바이러스처럼
복제
되며 널리 읽혔다. 미국의사협회지는 7월 13일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과장보도가 많이 나왔다며 비판했다. 한 개의 연구 성과만으로 결론이 난 것처럼 알리는 침소봉대, 연구 한계나 이견은 가리고 성과만 ... ...
[백신 업데이트] 존슨앤존슨, 벡터 백신 3상 임상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자를 실어나르는 일종의 그릇 역할만 할 뿐 체내에서
복제
를 일으켜 감기에 걸리게 할 위험은 없다고 밝혔다. 존슨앤존슨은 올해 7월 유럽집행위원회(EC)로부터 판매 승인을 얻은 에볼라 백신도 이와 동일한 애드백 기술을 이용한 벡터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 ...
실험실에서 탄생한 ‘인공모유’ 분유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역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며 “자연산 모유의 이점을 인공 모유가 실험실에서 완벽하게
복제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두 스타트업은 “모유 수유가 가능하지 않은 산모를 위한 최선의 옵션을 제공하려는 게 목적”이라고 밝혔다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년 정도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수천만명의 인간을 대상으로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복제
가 활발히 일어날 경우다. 바이러스를 개조하려는 매드사이언티스크가 한정적인 실험동물, 배양세포에서 바이러스를 기르면서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1000년 정도라면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좀 더 ...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코로나19 조기진단·치료로 발상전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한다는 주장이다. 서 회장은 “숙주가 반드시 필요한 바이러스는 인체 내에 침입해
복제
·증식하면서 독성을 내뿜게 되는데 이 독성이 폐를 비롯한 다양한 인체 장기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라며 “문제는 손상을 입은 장기를 회복시키는 약이 없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60대 이상 고령 ... ...
방역당국 “9월 중 코로나 항체치료제 대량 생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기능하는 항체들이 별도로 생성되기도 하는데 어떤 항체가 실질적으로 바이러스
복제
를 끊어낼 수 있는지 수많은 연구를 통해서 알아내야 한다”며 “또 이 항체를 증식시키고 치료제로 만들고 대량생산, 투약 과정이 진행돼야 한다”고 부연설명했다. ... ...
[내 아이 챙기기]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있는 TMPRSS2에 의해 두 조각으로 분해된다. 이 과정을 거친 뒤에야 인체 세포에 침투해
복제
와 감염, 전파를 시작한다. 그런데 어린이는 ACE2와 TMPRSS2가 모두 적게 만들어지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 두 효소가 적게 만들어지면 같은 양의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호흡기 세포에 감염이 적게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가끔 음표 한두 개를 잘못 옮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전체 역시 확률적으로
복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변이’라고 한다. 변이는 확률적인 현상으로 어느 생명체나 다 일정한 속도로 변이가 발생한다. 이달 5일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이 형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9 백신이 바로 재조합벡터백신이다. 다만 이 경우는 벡터로 쓰이는 아데노바이러스가
복제
를 할 수 없게 게놈이 변형된 상태이므로 전염성이 없다. 토끼 대상으로 현장 실험 유럽에 서식하는 굴토끼는 1950년대 의도적으로 들여온 점액종바이러스와 1980년대 중국에서 유입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