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카피
사본
재생
재현
복원
재생산
스페셜
"
복제
"(으)로 총 3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팬젠-IVI, 코로나19 백신 공동개발 MOU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IND)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복제
약을 뜻한다. 셀트리온은 “국내를 비롯해 전 세계 7개국 약 65개 임상시험기관을 통해 임상 3상을 진행한다”며 “2023년 상반기 내 시험을 마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정보는 세균의 유전체 안에 존재하므로 세균이 증식을 해도 증식된 세균에 그대로
복제
돼 기억된다. 이렇게 크리스퍼를 가지고 있는 세균은 크리스퍼 RNA를 발현하고 캐스나인(Cas9)이라는 단백질도 발현한다. 이 세균을 다시 바이러스가 공격하면, 세균의 크리스퍼RNA와 캐스9 단백질은 그 ... ...
"리제네론, 리제네론"…트럼프가 맞자마자 나았다며 극찬한 항체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생성된 항체를 다클론항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중 가장 효과가 좋은 항체 하나만 골라내
복제
하면 이게 단일클론항체가 된다. 리제네론의 REGN-COV2의 경우 단일클론항체 2개(REGN10933, REGN10987)를 섞은 뒤 양을 늘려 환자에게 투입하는 방식이어서 ‘칵테일 요법’으로 불리기도 한다. CNN 등은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분자를 분석하기 위해 단일 세포 RNA-시퀀싱 기술을 활용했다. RNA는 DNA가 지닌 유전정보를
복제
해 인체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 때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단일세포 RNA-시퀀싱은 세포를 하나하나 분리하고 개별 세포 수준에서 전체 유전자가 발현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연구 샘플에 포함된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또, 바이러스에서 관찰한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한 후 변이가 일어난 부분이
복제
를 방해한다고 가정했다. 라이스 교수는 먼저 유전 공학적인 기법을 이용해 변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고 이 RNA를 침팬지의 간에 주입했다. 그 결과 침팬지의 혈액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만성 ...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과학자들 노벨생리의학상(재종합)
2020.10.05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DNA에서 유전적 변이를 관찰하고 일부가 바이러스
복제
를 방해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변이가 없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를 침팬지의 간에 주입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 침팬지의 혈액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만성 간염 환자에게 볼 수 있는 유사한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 코로나19 등 바이러스의 전쟁 가능케 한 주역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감염시킨다. 항바이러스제는 일반 의약품과는 달리 병원체를 파괴하지 않고 바이러스의
복제
를 차단하는 원리로 치료하는 방식이다. 최종기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는 말라리아와 결핵, 에이즈와 함께 4대 감염질환 중 하나에 속하기 때문에 C형 간염 바이러스 ... ...
노벨생리의학상 만성 간 질환 유발하는 간염과 전쟁 공헌한 바이러스학자들 수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찰스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RNA에서 유전적 변이를 관찰하고 일부가 바이러스
복제
를 방해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변이가 없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를 침팬지의 간에 주입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 침팬지의 혈액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만성 간염 환자에게 볼 수 있는 ... ...
'코로나19 극복은 새로운 도전' 노벨상 수상자도 팔 걷어붙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있는 토대를 닦아놨다. 1969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서
복제
되는 원리를 발견했고, 1984년에는 하나의 항원에만 반응하는 단일클론항체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받았다. 1987년에는 일본 분자생물학자가 인체가 병원체를 막기 위해 다양한 항체를 생성하는 ... ...
'위조상품 잡는 AI' 실증랩 대전에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30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실증랩은 AI 불법
복제
품 판독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됐다. AI불법
복제
품 판독사업은 2018년 기준으로 연간 5만2000건에 이르는 지식재산권침해 범죄를 줄여 국내 지식재산산업을 보호하고 위조상품에 의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시작된 사업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