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높은사람"(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1948년, 트랜지스터의 발명은 전 세계를 요동치게 만들었고 이후 IT업계의 판도를 완전히뒤바꾸어 놓았다. 집적회로 개발 이후 반도체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금새 생활 곳곳에 반도체가 사용되지 않은 곳이 없는 ‘반도체 시대’가 열렸다. 이와 함께 인텔, 삼성 등의 기업들은 최신 반도체를 속 ...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KAIST l2013.04.29
- 지난 10월 11일, KAIST의 중앙 잔디밭, 노천극장,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제 1회 KAIST Art and Music Festival(이하KAMF)이 열렸다. 평소에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토요일 오전이지만, 이날 창의관 앞 잔디밭은 KAMF를 즐기러 온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사람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늘어났다. 거리공연으로 티켓 ...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이상기 순천향대 교수 “바이오 분야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연구개발(R&D)로 승부를 걸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문 인력 양성입니다.” 이상기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의약공학과 교수(62·사진)는 오랜 연구소 생활과 바이오기업 창업 경험을 들며 인재의 필요성을 강조 ...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동아사이언스 l2013.04.24
- 지난 3월 11일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 사고 2주년을 맞이했다. 2년이 지났지만, 아직 사태 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아직 사태가 현재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기라도 하듯, 3월 11일이 되자마자 전 세계 언론에서 수많은 기사를 쏟아내기도 했다. 일본 내 보도에 따르면 최소 789 ...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4.23
- 지난 1천 년 간 현대 문명의 견인차가 된 획기적인 기술 가운데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15세기 요하네스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 1397~1468)에 의해 등장한 인쇄기이다. 학자들은 그가 인쇄기를 발명하지 않았다면 현대와 같은 산업 시대가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인쇄 ...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동아사이언스 l2012.07.23
- 박호용 인섹트바이오텍 최고기술책임자(CTO). 김수비 기자 “바이오 벤처에서 성공한 기업이 많이 나오려면 창업하는 벤처 기업의 수가 그만큼 많아야 합니다. 10%의 성공확률로 1000개 벤처 기업 중 100개 기업이 살아남는 것과 30%의 성공확률로 10개 기업 중 3개가 살아남는 것은 차원이 다르지요.” 13 ...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동아사이언스 l2012.03.26
- “산림자원을 이용한 생명공학은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생명공학을 이용해 경제수를 육성하거나, 효능이 좋은 의약품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박종호 산림청 산림자원국장은 산림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산업은 ‘미개척 블루오션’이라고 강조했다.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덮여있는 우리나 ...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동아사이언스 l2011.10.17
- “전 세계에는 약 3만5000여 종의 생물이 있는데 그중 80%에 해당하는 2만8000여 종이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를 활용하는 해양생명공학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만난 박광열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의 경우 높은 생물다양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측면 ...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0.02.09
- “이제 국내 바이오 분야도 연구와 산업이 함께 손잡고 가야합니다. 연구와 산업 부문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연구 개발을 결과물로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준승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은 “생명 공학이 연구 수준은 높아졌지만 아직 산업화하는 단계에는 이르 ...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동아사이언스 l2010.02.08
- 좌로부터 박영훈 원장,오병석 과장,조성인 교수,임광수 원장,정승 원장 지난해 12월 농림수산식품 분야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중장기 계획이 처음으로 수립됐다. 이 ‘제1차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은 단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인재육성이나 인프라 구축까지 아우르는 2010년부터 ... ...
이전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