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니버시티"(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최전선을 논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9.04.11
- 공유한다. 신경과학 분야는 김은준 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과 디미트리 쿨만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수가 좌장을 맡는다.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개최하는 ‘IBS-RIKEN 공동 콘퍼런스’는 10월 17일과 18일 이틀간 대전 IBS 본원 과학문화센터에서 열린다. 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을 비롯해 ... ...
- UNEP 전 수석과학자 "위성 데이터로 미세먼지 배출원 매일 공개하자"2019.04.09
- 위한 전세계 과학사회의 노력방안'을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 자끌린 맥글레이드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환경학과 교수는 따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한국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하며 해법을 제시했다. 맥글레이드 교수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유엔환경계획(UNEP) 수석과학자를 ... ...
- UNEP 전 수석과학자, '지속가능한 지구, 과학의 역할'을 말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4.09
- SDG)’을 논의한다. 자클린 맥글레이드 유엔환경계획(UNEP) 전 수석과학자(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수), 앤 얼츠 노바티스재단 수석 등이 연사로 참여한다. 콘퍼런스 1세션인 ‘과학과 SDG의 이해’에서는 SDG에 부응하기 위한 전세계 과학자 사회의 노력 방안을 맥글레이드 전 수석과학자가 ... ...
- “에이즈 완치 낙관 일러... 백신개발 통한 예방이 우선돼야”동아사이언스 l2019.04.05
- 데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런던 환자 치료를 맡은 라빈드라 굽타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의대 교수도 “HIV 감염은 잠복기가 길어 더 긴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며 “아직은 완전한 치료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두 건의 사례는 모두 ‘CCR5’라는 특정 안테나 단백질을 ... ...
- [표지로읽는과학] 종양 부위별로 암세포 진화 능력 다르다동아사이언스 l2019.03.30
- 공격해야 할 면역세포의 성질이 바뀌어 오히려 증식을 돕는 일이 일어난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내 암연구소 폐암센터의 레이첼 로젠탈 연구원과 니콜라스 맥그래넌 연구원, 찰스 스완튼 교수팀은 비소세포폐암의 초기단계인 종양 88개의 RNA를 분석하고, 종양에 면역세포가 얼마나 ... ...
- 하부맨틀 활발한 움직임 발견…지구 빠른 냉각속도 증명연합뉴스 l2019.03.27
- 움직이게 하는 정도가 이전 학설에 비해 훨씬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강원대, 리스본대, 파도바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에서 수천만건의 지진파 자료를 활용, 하부맨틀이 있는 지하 1천200㎞까지 ... ...
- 줄기세포로 HIV 감염 환자 치료 성공…두 번째 사례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9.03.05
- 에이즈 환자 치료에 한 걸음 더 가깝게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라빈드라 굽타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R) 의대 교수팀은 2012년부터 호지킨 림프종을 앓은 영국 런던 거주 남성 HIV 감염인을 대상으로 줄기세포 이식 실험을 한 뒤 그 결과를 ‘네이처’ 5일자에 발표했다. HIV는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동아사이언스 l2018.12.06
-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간질이는 것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스스로 간질일 때와 남이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했다.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였다. 소뇌는 ... ...
- “이공계 여학생 장학 사업에 보탰으면”…어머니 뜻 기려 GIST에 2억 원 기부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THE)이 개교 50년을 넘지 않은 신흥대학을 대상으로 평가 순위를 발표하는 ‘영 유니버시티 랭킹’에서 지난해 세계 26위로 포스텍, KAIST에 이어 국내 3위를 차지한 바 있다 ...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22
- 선캄브리아기의 미화석은 대부분 발표와 동시에 논란에 휩싸이곤 한다. 매슈 도드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박사과정생이 캐나다 퀘벡 지역 누부아기터크 지역에서 37억7000만~42억8000만 년 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올해 3월 네이처에 발표했으나 이 역시 발표와 동시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