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어린이과학동아
"
인공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
기사
l
20240815
그래서 그런지 훨씬 가벼워 보입니다. 다른 나라의 우주 산업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셨습니다.특히 영국에 대해서 말입니다. 영국은
인공
위성을 잘 만들지만 로켓이 없어 미국에게 도움을 많이 청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은 잘 해주지 않고 해준다 해도 비용을 많이 받고 해줍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내년 11월 이면 새로 ...
한화에 찾아갔다온 김지오 기자
기사
l
20240813
못 올렸다. 왜냐하면 옛날에는 우주선이 비싸기만 하고 쓸모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인공
위성이 중요하다. 그래도 영국은
인공
위성이 뛰어나지만, 돈이 없어서 못올리고 있다. 아르테미스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미션은 달에다 거주를 하는 게 최종 목표이다. 여까지 한화에 갔다온 김지오 기자 입니다 ... ...
7년을 기다린 매미 - 지사탐 매미 남산 현장 교육
기사
l
20240813
온도가 되어야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매미는 대부분 낮에 우는데요. 밤에도 매미가 우는 이유는 빛에 민감한 매미가 가로등과
인공
불빛을 낮으로 착각해서 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온도에 민감한 매미는 한여름 열대아가 있는 밤에도 운다고 합니다. 매미는 땅 속 애벌레(약충) 상태로 7년이 넘는 오랜 시간을 지나 세상에 나와서 2-3주, 길게는 한 ...
NASA의 대한 모든것-1탄
기사
l
20240812
상황과도 연결되어 있는데요. 이 시기는 소련과 미국의 냉전시대 이였습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인데, 1957년 소련이 최초로
인공
위성인 스푸트니크(Sputnik)를 발사합니다. 소련이 발사를 성공하자 미국은 소련에 우주 경쟁에서 뒤처진다는 위기감 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미국 대통령인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미국의 과학 기술력을 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다녀와서
기사
l
20240811
수 있게 정교한 로봇을 만들어서 그 로봇으로 엔진을 생산하면 오류 없이 엔진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엔진을 더 빨리 만들어
인공
위성을 더 활발하게 우주로 보내서 우리나라의 위성 분야에서의 세계적 입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의 사람들은 새로운 엔진과 연료 그리고 전반적인 로켓을 연구하면 더 좋은 로켓을 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다녀와서
기사
l
20240810
공급제는 연료를 혼합시켜주는데, 극한의 환경에서도 센서가 꼭 작동해야 합니다. 또, 페어로드를 늘려야 합니다. 여기서 페어로드란,
인공
위성과 사람 같은 화물을 뜻합니다. 페어로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격자 패턴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공기바람도 빠르면 안됩니다. 공기바람이 너무 빠르면 터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로켓은 프로그램화 분리 ...
워터파크에 숨겨진 과학!(기사콘 챌린지)
기사
l
20240810
수영장에서 중력이 크면 우리는 물에 가라앉고, 부력이 크면 우리는 물에 뜨는 것입니다. 3.파도플 파도풀은 수영장이지만
인공
적으로 만든 파도가 있습니다. 물을 쏟아서 파도를 만들죠. 하루에 몇천 톤의 물을 사용합니다. 이 원리는 물탱크의 물이 서로 충돌하면서 입자들이 운동에너지를 전달하여 파도가 생기는 것입니다. 파도풀에서 파도를 타 보세 ...
유익한 정보가 가득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견학기
기사
l
20240809
냄비의 재료이기도 합니다. 또 인코넬은 고온에 강한 소재입니다. 로켓의 외벽은 2mm로 매우 얇습니다. 그 이유는 최대한 많은
인공
위성을 싣고 가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로켓에는 '에비오닉스'라는 사람의 뇌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되있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이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었습니다. 로켓에 사람의 뇌 역할을 하는 것이 있는 줄 ...
우주를 향한 불꽃! 한국 우주 개척의 요람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심장이 뛰다.
기사
l
20240809
발사 성공률을 높이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외국의 많은 기업들이 믿고
인공
위성을 누리호에 실어서 우주로 보낼 수 있게 되고 많은
인공
위성을 싣게 되면 우주발사체 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귀에 쏙쏙 들어오도록 알기쉽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마지막 질문은 지난 5월 내년 하반기에 발사될 누 ...
한화 에어로스페이스에 다녀오다
기사
l
20240807
나는 것 같지만 조금씩 방향제로 이동을 합니다. 질문! 나중에는 우주의 시대가 열릴텐데 누리호는 어떻게 쓰이게 되나요? 나중에도
인공
위성을 어디론가 보낼 예정이므로 로켓은 계속 사용 되고 누리호가 싸면 많이 팔리고 비싸면 잘 안 쓰입니다. 누리호 발사를 마치고 떨어지면 우주선의 부품을 회수를 안합니다. 엔진 부분을 직접 만지면 엄청 차갑습니다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